[마켓 투데이]외국인 자금 유출보다 국내경제 장기 안정성에 관심을

  • Array
  • 입력 2011년 2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올 들어 선진국 주가가 이머징 국가 주가보다 상대적으로 탄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과 국제기구들은 앞다퉈 선진국들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높이고 있다. 미국의 기업 활동은 지난 몇 년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고 남유럽 국가 문제가 유럽 지역 경제를 망가뜨릴 것이라는 걱정도 한결 완화되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선진국의 구조적 문제를 감안할 때 지금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 장기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 본다.

무엇보다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선진국 경제지표가 상당 부분 극단적 정책 효과를 반영한 것임을 감안해야 한다. 실제로 작년 4월까지 이어진 미국의 1차 양적 완화 때도 경제지표가 호전되며 낙관론이 퍼졌지만, 양적 완화가 마무리된 후 한 분기 만에 더블딥 논의가 불거졌다. 이는 이번 2차 양적 완화가 마무리되는 올해 6월 이후 미국 경제의 자생적 회복도 여전히 불투명함을 암시한다. 특히 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 기업들의 투자와 채용은 매우 느린 속도로 늘고 있다.

남유럽 문제 역시 작년 4분기 이후 중국, 일본이 지원 입장을 밝히며 안정감을 되찾고 있지만 큰 흐름으로 보면 낙관론과 비관론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재정적 통합 없이 이뤄진 통화 통합하에서 유럽연합(EU) 역내의 국제수지 불균형이 해소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불균형 해소가 늦어지면 남유럽 국가의 부채는 쉽게 줄어들 수 없고, 투자자들도 계속 의심의 눈길을 보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진국의 성장성이 이머징 국가를 넘어서긴 어렵다. 이머징 국가 통화 대비 선진국 통화 역시 결국은 약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비록 정책 효과에 의해서라도 선진국 경제가 좋다면 이 기간 수출 주도의 국내 경제는 수혜를 받게 될 것이다.

물론 선진국 경기가 필자의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고 각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면서 급격한 긴축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글로벌 자산 가격도 일정 기간 충격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선진국 경제가 구조적인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유동성을 급격하게 위축시킬 만한 긴축이 조기에 진행될 가능성 역시 크지 않다.

결국 핵심은 국내 경제의 안정적 성장이다. 안정적 성장이 이뤄지는 한 자금 유출은 일시적일 수밖에 없다. 풍부한 유동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글로벌 자금은 결국 안정적 성장이 가능한 지역으로 배분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투자자라면 최근의 외국인 자금 유출보다 우리 경제정책이 얼마나 안정적 성장을 지향하는가에 관심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최석원 삼성증권 채권분석팀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