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교수팀, ‘인간의 친구’ 개 복제 성공

  • 입력 2005년 8월 4일 03시 12분


코멘트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복제를 통해 태어난 개 ‘스너피’(가운데)와 체세포를 제공한 아프간하운드 수캐 타이(왼쪽), 대리모 역할을 한 리트리버 암캐 심바(오른쪽)를 3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왼쪽부터 이병천, 황우석 서울대 교수, 오현주 연구원,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 박영대 기자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복제를 통해 태어난 개 ‘스너피’(가운데)와 체세포를 제공한 아프간하운드 수캐 타이(왼쪽), 대리모 역할을 한 리트리버 암캐 심바(오른쪽)를 3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왼쪽부터 이병천, 황우석 서울대 교수, 오현주 연구원,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 박영대 기자

《서울대 황우석(黃禹錫) 석좌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개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2월과 올해 5월에 이어 세계를 놀라게 한 세 번째 쾌거다. 불과 몇 개월 만에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잇달아 낸 것은 과학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다. 황 교수와 연구팀은 3일 오전 서울 관악구 신림동 서울대 수의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002년 8월부터 2년 8개월의 연구 끝에 4월 24일 복제된 개를 출산시켰으며 현재 건강이 양호한 상태”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개를 서울대(SNU·Seoul National University)와 강아지(puppy)의 영어 단어를 합쳐 ‘스너피(Snuppy)’라고 이름 지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온라인판 4일자에 소개됐으며 스너피 사진은 ‘네이처’ 표지에 실렸다.

복제를 통해 태어난 개 '스너피'.

황 교수는 “개는 당뇨병 심장병 등 65종의 질병을 인간과 공유해 난치병 연구에 유용하다”면서 “앞으로 개의 복제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얻어 실험한다면 인간 줄기세포를 난치병에 적용하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는 생식기 구조가 복잡하고 난자를 얻기가 매우 어려워 원숭이와 함께 복제가 가장 어려운 동물로 꼽혀 왔다. 큰 난관이던 개 복제에 성공함으로써 원숭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주요 동물 복제가 이뤄졌다.

세계적으로 복제 동물은 1996년 복제양 돌리가 탄생한 이후 최근까지 소 말 돼지 사슴 등 모두 12종(種)이 탄생했다. 개는 13번째.

황 교수팀은 개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고 이를 애완견의 일종인 ‘아프간하운드’ 3년생 수컷의 귀에서 얻은 체세포와 융합해 복제했다.

이어 복제된 배아 1095개를 리트리버 종 등 123마리의 대리모에 나눠 이식했으며 4월과 5월 각각 1마리의 강아지가 태어났다. 하지만 5월에 태어난 강아지는 폐렴으로 22일 만에 숨졌다.

이번 연구에는 이병천(李柄千) 강성근(姜成根) 교수를 포함한 서울대 수의대 특수동물복제팀 10명과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가 참여했다.

황 교수팀은 지난해 2월 세계 최초로 인간 복제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했고, 올해 5월에는 환자 11명의 복제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얻는 데 성공해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의 표지 논문으로 소개됐다.

복제양 돌리를 만든 영국 에든버러대 의대 이언 윌머트 교수는 3일 황 교수팀과 공동연구 협의차 방문한 자리에서 “이번 성과는 동물복제에서 최고 정점을 찍는 큰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황 교수팀의 이번 성과로 개를 비롯한 애완동물 복제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애완동물 복제 회사가 등장해 수천만 원대의 돈을 요구하며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 하지만 애완동물이 대량 복제되면 예상치 못한 생태계 교란이 발생할 수 있어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황 교수는 “우리의 목적은 상업용 애완동물 복제가 아니라 질병 연구”라고 강조했다.

김훈기 동아사이언스 기자 wolfkim@donga.com

이충환 동아사이언스 기자 cosmo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