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동아일보]대교협이 언론사 대학평가에 반발하는 까닭은 外

  • Array
  • 입력 2010년 10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경향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이 매년 발표하는 대학평가 순위는 대학들에는 초미의 관심사인 동시에 골칫덩이였다. 14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전국 대학총장 명의의 결의문에서 ‘울며 겨자 먹기’로 참여해온 언론사 대학평가를 거부한다는 첫 공식 입장을 밝혔다. 무엇이 대학들을 참을 수 없도록 만들었는지, 결의문 발표 이후 대학의 분위기는 어떤지 알아봤다.


■ 대외비 보고서에 적힌 여권 최대 숙제는…

당내 계파 화합, 친서민 기조 강화…. 6·2지방선거 패배 이후 2012년 총선과 대선에 위기감을 느낀 한나라당이 실행에 옮겨온 주요 정책들이다. 지방선거 이후 여권 지도부 등에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던 대외비 보고서 한 권을 통해 여권의 향후 진로를 점쳐봤다.



■ 한일 문화교류 어디까지 왔나

배용준 씨가 쓴 책에 소개된 곳을 여행하고 한국 걸그룹에 열광하는 일본인,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읽고 ‘규동’과 ‘라멘’을 즐기는 한국인…. 한때 한국에선 금기시됐고 일본에선 무관심했던 한일 간 문화교류가 이제는 양국 청년층을 넘어 중년층까지 파고드는 문화 트렌드가 됐다.



■ 오락가락 금리 정책에 헷갈리는 금융시장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를 뒀지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금리를 동결했다. 매달 한은의 통화정책 결정의 변수가 바뀌면서 시장관계자들은 기준금리 예측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며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금통위의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을 통해 한은의 경기진단 변화를 살펴본다.



■ 칠레 광원들의 ‘불편한 진실’

69일 만의 사투 끝에 극적으로 구조된 칠레 산호세 광산의 광원 33인도 인간이었다. 매몰 직후부터 외부에 생존 사실을 알리기까지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의 공포 속에서 갈등과 반목, 절망과 분열을 경험한 것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이 구조 광원 1명을 인터뷰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들의 지하생활상을 소개했다.



■ ‘공감’이란 렌즈로 들여다본 경제史

“이해하지만 ‘공감’은 못한다.” 일상에서 종종 쓰는 말이다. 단지 아는 것에서 벗어나 ‘같이 느끼는’ 공감이란 분명 높은 경지의 감정일 것이다. 인간의 공감 능력은 어디서 왔고 어디까지 가능할까. ‘소유의 종말’ 저자 제러미 리프킨이 새 책 ‘공감의 시대’에서 제기한 질문이다.



■ 어느 중고차 매매업체의 돌풍 비결

엉터리 중고차를 샀다가 고생한 사람이 많다. 영어권에서는 중고차를 ‘레몬’이라고 부른다. 껍질은 윤기가 흐르지만 그냥 먹기엔 너무 신 레몬이 겉만 번지르르한 중고차와 닮아서다. 그러나 SK엔카는 신뢰를 무기로 중고차 시장에서 급성장했다. 그 성공 비결을 집중 분석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