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재계 ‘미래기금’에 日기업 2억엔 추가 기부”… 강제동원 기업은 빠져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尹-기시다, 청년 교류 확대키로

지난해 3월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판결 대응책 발표를 계기로 설립된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에 일본 기업이 2억 엔(약 17억5000만 원)을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 기업도 향후 기금 추가 확충에 참여할 방침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26일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미래지향적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유학, 인턴십, 취업 등 청년층 교류 확대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에게 최근 미래 파트너십 기금에 일본 기업들이 추가로 기여하기로 한 것에 대해 평가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일본이 선제적으로 2억 엔을 추가로 모금했다”며 “여기에 발맞춰 한국경제인협회(옛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도 재단에 기금을 확충하고 양국 청년 미래세대가 보다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도록 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은 한일 재계가 지난해 3월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구축을 위해 각각 10억 원과 1억 엔을 출연해 창설한 기금이다. 이 기금으로 올 1월에 한국 고교 교사 50명은 일본에서 기업 방문, 문화 체험, 교육 현장 시찰 등을 했다. 4월에는 일본 측이 한국 스타트업 기업을 초청해 ‘한일 스타트업 제휴 포럼’을 개최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재계 단체인 경단련(經團連) 회원사가 미래 파트너십 기금에 낸 기부금이 기존 목표액인 1억 엔보다 2배 이상으로 늘었다고 보도했다. 경단련 측은 “한일 양국을 둘러싼 정세가 엄중하고 예단을 불허하는 상황이라 한층 더 파트너십의 강화가 요구된다”며 기금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강제동원 배상 판결 피고 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 일본제철, 히타치조선 등은 기부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법원 배상 판결이 확정된 일본 기업들은 한국 정부 산하 재단이 배상금 상당액을 원고에게 지불하는 해결책이 최종적으로 마무리되지 않아 참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해 3월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민간에서 재원을 마련해 배상 확정 판결을 받은 피해자들에게 일본 피고 기업 대신 배상금과 지연이자를 지급한다고 밝혔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한일 재계#미래기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