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대홍수에 5300명 숨지고 1만명 실종…정치혼란·기후변화 탓

  • 뉴스1
  • 입력 2023년 9월 13일 07시 12분


코멘트
리비아를 강타한 폭풍으로 인해 5300명 이상이 숨지고 1만명 이상이 실종되는 등 피해가 극심한 가운데, 수년 간 이어진 국가 내부의 정치적 혼란 사태와 기후 변화가 피해를 더욱 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리비아 동부 주요도시 데르나를 할퀸 폭풍으로 인해 현재까지 파악된 사망자만 5000명이 넘고 1만명 이상이 실종된 상황이다.

리비아 내무부 대변인 모하메드 아부-라무샤는 “데르나에서만 5300명이 넘는 인원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당초 지역 당국은 사망자 수를 2300명으로 집계했었지만, 내무부는 이보다 두 배가 넘는 사망자가 나왔다고 발표한 것.

특히 폭우로 인해 데르나의 댐이 무너져 도시의 4분의 1 정도가 바다로 쓸려가 사망자 수가 이처럼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아울러 수년 간 이어진 리비아 국가 내부의 혼란한 정치 상황이 재난 피해는 물론, 구호 작업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는 데까지 영향을 미쳤단 분석이 나온다.

2011년 중동의 민주화 혁명으로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를 축출한 이후 현재 리비아에선 2개의 정부가 자신들의 정통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번 폭풍 피해의 대부분이 발생한 동부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리비아국민군(LNA) 지도자 칼리파 하프타르가 통치하고 있다.

반면 유엔과 대부분의 세계 정부가 인정하는 임시 정부는 수도 트리폴리 등 서부를 통제한다. 이 일대를 관리하는 리비아통합정부(GNU)는 압둘하메드 드베이바 총리가 이끌고 있다.

이처럼 카다피를 축출한 뒤 지금까지 GNU는 서부를, LNA은 동부를 나눠 통치하는 등 사실상 무정부 상태인 리비아인 만큼 피해가 극심하다는 것이다.

실제 인명 피해 통계가 각각 다르게 집계되고 있으며 재난에 대한 대응도 신속하고 정확하지 못한 상황이다.

◇국제사회 지원에도 구호 작업 난항 계속

군의 지원을 받는 구조 대원들은 현재 피해 지역에서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고립된 수백명의 주민들은 아직 구조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프랑스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구조 팀 파견 의사를 밝혔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긴급 구호 자금을 지원하는 등 국제사회 곳곳에서 지원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통합된 정부가 존재하지 않아 지원 작업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문가들은 리비아에 단일 통합 정부가 없으면 이 같은 재앙에 대한 대응이 원활하지 못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독일 싱크탱크인 유럽외교협의회(ECFR)의 타렉 메그리시 선임연구원은 “이번 재앙은 엘리트들이 권력을 위해 경쟁하고, 실제 통치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리비아의 현재 정치 시스템의 문제를 드러낸다”면서 “이런 위기의 결과는 통치 실패로 인해 배가된다”고 우려했다.

◇지구촌 기후 변화, 극심한 폭우 피해에 영향

아울러 기후 변화로 인해 이번 폭풍 피해가 더욱 심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해수면의 온도가 평균 3도 이상씩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강수량도 훨씬 더욱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여름 북반구를 덮친 기록적인 폭염에, 뜨거워진 지중해 기온이 이같은 파괴적인 폭우 사태에 영향을 미쳤다고 기상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실제 리비아에 이번 폭풍이 상륙하기 전, 지난주 그리스에도 폭우로 인해 재앙적인 홍수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의 열대 폭우가 몸집을 키워 리비아에 상륙했고 피해가 극심해졌다는 것이다.

한편 리비아는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를 축출한 2011년 혁명 이후 여러 세력이 통치를 놓고 갈등을 빚으면서 무정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당시 양측은 내전을 벌여 민간인을 포함해 1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기도 했지만 2020년 10월에는 유엔의 중재 하에 휴전 협정에 서명했고, 선거 일정에도 합의했다.

이후 휴전 합의 내용에 대한 상이한 해석으로 충돌이 다시 격화해 현재 동부와 서부를 각각 나눠 2개 정부가 통치하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