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핵전쟁’ 으름장에도 과감한 美…‘레드라인’ 넘어 우크라 지원

  • 뉴스1
  • 입력 2023년 6월 2일 13시 53분


코멘트
미국의 대(對)우크라이나 지원이 갈수록 과감해지고 있다.

미국은 그동안 ‘레드 라인(금지선)을 넘지 말라’는 러시아의 경고로 인해 우크라이나 지원에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다.

하지만 실제로 러시아가 대응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미국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폴리티코 등 외신을 종합하면 확전을 우려하며 러시아의 눈치를 보던 미국이 최근 우크라이나 무장에 과감하게 나서는 분위기다.

미국은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의 경고를 무릅쓰고 우크라이나에 155㎜ 탄약부터 재블린과 스팅어 미사일, 하이마스(HIMARS·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와 M1 에이브럼스 전차에 이르기까지 무기 지원을 점차 늘려왔다.

그러다 지난달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구(G7)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F-16 전투기 지원 방침을 발표했고 에이태큼스(ATACMS) 장거리 미사일 지원도 시사했다.

미국이 이처럼 과감하게 나설 수 있던 이유는 바로 러시아의 허울뿐인 경고 때문이라고 WP와 폴리티코는 분석했다.

그동안 러시아는 지속적으로 확전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내놓았지만 실제로는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러시아가 영토 보전에 위협을 느낀다면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다. 이건 허풍이 아니다”며 핵무기 사용을 암시했지만 이후 입자을 철회했다.

이외에도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지난 1월 “재래식 전쟁에서 핵보유국이 패배하면 핵전쟁이 발발할 수 있다”고 엄포를 놓았다.

러시아는 결국 벨라루스 영토에 전술 핵무기를 배치하기로 벨라루스와 합의했지만 실제로 이를 사용하려는 징후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결국 미국과 유럽 지도자들 사이에서는 우크라이나 지원이 심각한 결과를 낳지는 않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WP는 분석했다.

폴리티코 역시 “몇 달 전만 해도 F-16을 우크라이나에 보내는 것은 미국으로서 너무 도발적인 조치라고 생각했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이제 우크라이나에 전투기를 보내는 것은 시간문제다”고 전했다.

러시아가 대응을 주저하는 것을 두고 미국 당국자들은 전쟁 장기화에 따른 군사력 약화 때문이라고 봤다.

한 미 당국자는 WP에 “(러시아가) 지금 당장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직접 대치하는 것은 그들 이익에 부합하지 않아 보인다”며 “그들은 그렇게 할 좋은 위치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은 최근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Foreign Affairs)에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서 25만명에 달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며 “러시아는 이들을 훈련도 제대로 못 받고 장비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예비군으로 대체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문제는 러시아의 진짜 ‘한계선’은 무엇이냐는 것이다.

미국 카네기국제평화재단(CEIP)의 러시아 전문가인 막심 사모루코프는 WP에 러시아가 스스로 위협의 무게감을 여러 번 떨어뜨렸다면서도 “문제는 우리가 러시아의 실제 레드라인을 모른다는 것”이다며 “이는 하루가 다르게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 미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폴리티코에 “푸틴 대통령이 ‘미친 짓’을 할까 봐 항상 걱정되는 게 사실”이라며 “그가 서방에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가하거나 우크라이나에 핵폭탄을 투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누가 장담할 수 있겠냐”고 말했다.

독일 소재 카네기유라시아센터의 알렉산테 가부예프 센터장은 “분명한 ‘레드라인’은 존재한다”면서도 “그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위험이 존재한다”고 짚었다.

WP는 이같이 위험이 잔존하고 있지만 러시아의 한계선을 넘으려는 바이든 행정부의 의지는 우크라이나의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한 미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WP에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에 실질적으로 가능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우크라이나 군대를 가장 잘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독보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