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보험사들, 코로나 폭증에 치료비 보장 거부…확진자들 ‘울상’

  • 뉴스1
  • 입력 2023년 1월 11일 13시 35분


코멘트
중국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해 의료 시스템이 마비되고 방역 당국의 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보험사들이 환자들의 치료비 보장을 거부하는 사례가 속출해 문제가 잇따르고 있다.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유례없는 코로나19 확산세를 감당하기 힘들어진 중국의 보험 업계는 폭증하는 코로나19 환자들의 치료비 등을 보장하는 데 난관을 겪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강력한 방역 대책인 제로 코로나 고삐를 푼 이후, 코로나19 확진자들에 대한 무상 치료 지원을 중단했는데 이후 치료비를 보험 업계가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확진자가 폭증한 것이다.

특히 상하이와 광저우에선 코로나19 중증 감염자들에 일 평균 최대 2만 위안(약 367만원)의 치료비를 청구하고 있는데, 이는 해당 지역 주민 평균 수입의 약 5배에 달하는 큰 비용인 것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후 뇌졸중으로 치료를 받았다는 농부 가오성리(53)는 15만 위안(약 2800만원)에 달하는 치료비를 현재 감당하지 못해 하루하루 고통받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허난성에 사는 그는 코로나19 중증 환자로 치료를 받았는데, 정부의 치료비 지원이 끊기면서 큰 금액의 치료비를 지불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의 아들은 “아버지가 건강보험에 가입돼있지 않다. 병원에서 매일 돈을 내라고 쫓아오지만 그럴 여유가 없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정부와 보험사로부터 치료비를 보장받지 못하는 중국의 코로나19 확진자들은 자신의 감염 여부를 당국에 알리지 않고 숨기는 등 추가적인 문제도 발생하고 있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최근 수많은 이들의 보험 가입을 거절했다는 베이징의 한 보험사 관계자는 최근 보험 가입 심사 기준이 “매우 엄격하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현재 중국의 코로나19 감염 상황은 미비한 국가의 의료 시스템의 현실과 의료 불평등 실태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구 6400만명의 동부 안후이성은 지난 주부터 주민들에게 코로나19 치료비의 30%를 지불하도록 요구하기 시작했다. 베이징 인근 도시 싼허는 지난달부터 코로나19 환자들에 입원비의 절반까지 요구하고 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한 고문은 “코로나19 확산세가 너무 빨라 당국이 관련 계획을 세울 시간이 없었다”며 “확실한 것은 정부가 모든 확진자들을 무료로 치료해줄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보건 당국은 혼란이 일자, 코로나19 감염자들의 치료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합병증 치료 등은 배제하는 등 엄격한 조건을 내세우면서 환자들의 부담은 여전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