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꺼져라”…中공안, 백지시위 참가자 추적·탄압

  • 뉴스1
  • 입력 2023년 1월 5일 16시 12분


코멘트
중국 정부가 ‘백지시위’ 참가자들을 은밀하게 추적해 구금과 조사를 벌이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해 촉발된 백지 시위로 공산당은 다급히 방역 정책을 ‘위드 코로나’로 선회, 시위를 묵인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시위 참석자들은 공안으로부터 알몸 수색을 당하는가 하면, 디지털 감시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위협까지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대규모 집회가 발생한지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주 사이 당국자들은 선동꾼들을 찾기 위해 빅데이터와 첨단 도구들을 모조리 사용하고 있다”며 공안으로부터 탄압을 받았다는 진술을 수십건 이상 확보했다고 전했다.

베이징에서 백지시위에 참석한 이후 구금된 익명의 청년은 WP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지난해 11월 28일 자정께 베이징 동부 량마허(亮馬河) 다리 인근에서 열린 집회에 불과 30분간 참석했고 얼굴이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했음에도 이틀만에 공안에게 추적을 당했다고 전했다.

그는 “바이러스는 더 이상 적이 아니다. 보건 당국과 격리실도 적이 아니다. (정부의 적은) 이제 시위에 참석한 사람들 뿐”이라며 “나는 과거 소셜 미디어 산업에 종사했다. 그래서 공안은 어떻게 미디어를 활용해 시민들을 검열하는지 잘 알고 있다. 집회에서 얼굴이 노출되지 않기위해 노력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도 그들은 날 찾아냈다. 아직까지 공안이 어떻게 나를 찾아냈는지 놀랍다”고 했다.

이어 “공안은 어떻게 사람들이 집회 참석자들을 모집했는지 캐물었는데, 나 역시 마찬가지로 그들한테 물어보고 싶었던 질문이 있다. 그러나 질문할 용기가 나지 않았다. 나는 정치적인 성향의 사람이 아니다. 온라인에도 정치적인 글을 단 한번도 적어본적이 없다. 공안이 아마 휴대폰 위치를 추적해 나를 찾아낸게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상하이에서 시위에 참석한 25세 익명의 남성은 조사를 위해 구금되는 동안 공안으로부터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서 있는 것만 허용됐고 혹시라도 잠에들게된다면 그들은 문을 두드려 우리를 깨웠다. 그들은 우리가 분리주의자 또는 외세라고 생각했다. 머리를 길게 기른 어떤 수감자에게는 ‘게이냐’고 물어보며 조롱했다”고 전했다.

이어 “공안은 우리를 ‘반역자’라고 부르며 ‘중국에서 당장 꺼지라’는 말도 서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공안이 시위 참석자를 추적하기 위해 기지국 정보를 이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익명의 변호사는 WP에 “공안은 현대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해 시위 참석자들의 번호를 수입한 뒤 모두를 소환해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이 기간 시위에 참석한 사람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 관련 게시글을 공유했던 사람들마저 잡아다 조사를 벌였다.

베이징 거주자인 31세 남성은 자신이 백지 시위에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트위터와 위챗(중국판 트위터)에 관련 글을 공유한 혐의로 지난해 12월2일 공안에게 붙잡혔고, 조사를 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잠도, 휴식도 없었다. 풀려나는 그 순간까지 그들은 내가 감옥에가는 것 처럼 대했다. 2주가 지났지만 여전히 누군가가 나를 감시한다는 공포에 떨고 있다”고 호소했다.

대만 중앙연구원의 사회학과 교수인 첸치저우는 “중국 공산당은 시위대가 공정한 재판을 받지 못하도록 법체계를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 특히 그들이 ‘적대세력’으로 분류될 경우 더욱 그렇다”고 지적했다.

한편, 중국 정부가 지난 3년 간의 봉쇄를 중단하고 위드 코로나로 선회하게 된 계기는 지난해 11월 신장 우루무치에서 발생한 아파트 화재였다.

당시 정부의 제로 코로나 조치로 아파트가 봉쇄돼 화재 진압이 늦어졌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베이징, 광저우, 청두에 이르기까지 중국 전역에서는 방역 규제 중단을 요구하는 백지시위가 확산했다.

여기에 일부는 언론의 자유, 민주주의, 법치주의, 인권 등을 요구하자 다급해진 정부는 지난해 12월부터 규제를 잇따라 완화했고 오는 8일 국경을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