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저고도 소형 위성 띄워 북·중·러 미사일 대응”

  • 뉴스1
  • 입력 2020년 8월 19일 10시 00분


코멘트
미국과 일본 정부가 저고도 인공위성 1000개를 띄워 북한·중국·러시아 등의 신형 미사일 발사를 탐지·추적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 캡처) © 뉴스1
미국과 일본 정부가 저고도 인공위성 1000개를 띄워 북한·중국·러시아 등의 신형 미사일 발사를 탐지·추적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 캡처) © 뉴스1
미국과 일본 정부가 다수의 소형 인공위성을 이용해 북한과 중국·러시아의 미사일 발사를 탐지·추적하는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라고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미일 양국은 그동안 탄도미사일 발사를 탐지·추적하는 데 고고도 위성과 지상레이더를 활용해온 상황. 그러나 최근 북한과 중국·러시아 등이 개발 중인 극초음속 미사일과 같은 신형 미사일은 일반적인 탄도미사일보다 비행고도가 낮고 속도도 빠른데다 발사 후 비행궤도를 바꾸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기존 미사일 방어체계론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미 정부는 소형 저고도 위성을 약 1000기를 지구 주회궤도상에 띄워 각 지역을 감시하는 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이며, 이에 “일본도 참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는 “미국의 띄울 소형 위성 가운데 약 200기엔 열원(熱源)을 쫓는 적외선 센서가 장착된다”며 “일본은 센서 개발과 위성 소형화에 협력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또 일본 주변 상공의 위성망 구축비용 가운데 일부를 부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일본 정부가 올 6월 개정한 ‘우주기본계획’에도 소형 위성 여러 개를 활용해 미사일을 추적·탐지하는 능력을 확보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닛케이 보도대로라면 일본 정부는 이 계획을 미국과 함께 추진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닛케이는 “소형 위성망엔 정찰용 광학망원경과 측위시스템(GPS) 탑재 위성도 포함되기 때문에 미사일뿐만 아니라 함선과 항공기, 지상의 군부대 이동까지 알 수 있다”며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주변의 중국 측 동향도 파악하기 쉽다”고 전했다.

미 정부는 우선 오는 2022년까지 소형 위성 30기를 궤도상에 띄워 미사일 탐지·추적 시스템을 시험 가동한다는 계획. 이와 관련 일본 정부는 2021회계연도(2021년 4월~2022년 3월) 예산안에 이 위성망에 탑재할 적외선 센서 개발비용 등을 반영하기로 했다.

닛케이는 소형 위성 1기당 가격은 5억엔(약 56억원) 전후, 전체 미사일 탐지·추적 시스템 구축 사업비는 1조엔(약 11조원)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