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과잉유동성 후유증 대비”

  • 입력 2009년 6월 11일 02시 55분


재정부 차관보 벨기에紙 기고

단기자금 증가율 6년만에 최고

세계 각국이 재정 투입을 늘리고 저금리 정책을 지속함에 따라 과잉 유동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후유증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은 벨기에 일간지인 르에코 8일자에 실린 기고문에서 “한국은 주요 20개국(G20)의 내년 의장국으로서 보호주의에 맞서 싸울 것이며, 다음으로는 과잉 유동성의 흡수 문제에 역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오늘은 금융위기 때문에 난 불을 확실히 끄도록 노력해야겠지만 내일은 새로운 거품이 생기는 걸 어떻게 막을지 지켜봐야 한다”면서 “일부 국가의 중앙은행이 ‘0% 금리’를 시행하는 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8일(현지 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현재 위기가 끝나면 세계적으로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과잉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한국의 4월 중 단기자금 증가율이 6년 7개월 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중 협의통화(M1) 평균잔액은 350조4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4% 급증했다. 2002년 9월(18.0%)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M1은 현금통화에 은행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을 더한 것으로 시중 단기자금의 규모를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다.

다만 4월 중 작년 동월 대비 광의통화(M2) 증가율은 10.6%로 3월(11.1%)보다 낮아졌다. M2는 M1에 정기 예·적금, 양도성예금증서(CD), 수익증권 등을 더한 광의의 통화지표다.

김화용 한은 금융통계팀 과장은 “경상수지 흑자 등의 영향으로 통화 공급이 늘면서 시중의 단기 여유자금이 증가했지만 은행들이 여전히 가계, 기업에 대한 대출을 꺼리고 있어 M2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지완 기자 cha@donga.com

정재윤 기자 jaeyu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