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은 지방정부 전략” 정부주장이 틀린 5대 이유

  • 입력 2006년 9월 9일 03시 03분


코멘트
“중국이 고구려 역사까지 넘본대요”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8일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인류의 문화유산 고구려 고분벽화’ 특별전을 찾은 유치원생들이 선생님과 함께 ‘강서대묘’, ‘쌍영총’ 등 고구려 고분벽화를 관람하고 있다. 변영욱 기자
“중국이 고구려 역사까지 넘본대요”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8일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인류의 문화유산 고구려 고분벽화’ 특별전을 찾은 유치원생들이 선생님과 함께 ‘강서대묘’, ‘쌍영총’ 등 고구려 고분벽화를 관람하고 있다. 변영욱 기자
《외교통상부는 동북공정 문제가 최근 재점화된 이후에도 “중국 사회과학원의 논문들이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동북공정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이미 충분히 확인되고 있다. 심지어 외교부가 지난해 10월 국회에 보낸 동북아역사재단 설립 관련 자료에도 ‘동북공정의 본질은 중국의 국가전략 차원의 조직적 역사 왜곡 프로젝트’라는 내용이 들어 있다. 고조선에서 발해까지 한국 고대사를 통째로 중국역사화하려는 동북공정이 결코 지방정부 차원의 프로젝트가 아님을 보여 주는 5가지 이유를 살펴보자.》

○중국 국책 연구기관의 작품

동북공정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은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변강사지(邊疆史地)연구중심(연구중심)이다. 중국사회과학원은 중국 국무원 직속으로 장기 국가전략을 연구하는 싱크탱크다. 1983년 수립된 연구중심은 이 사회과학원 산하 35개 개별 연구소 중 하나다. 동북3성 차원의 프로젝트라는 주장은 동북공정에 지린(吉林) 성, 랴오닝(遼寧) 성, 헤이룽장(黑龍江) 성 사회과학원과 퉁화(通化)사범대 고구려연구원(최근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격상됨) 등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를 기획 조정하는 동북공정 전문가위원회는 연구중심 연구원들이 주임을 맡아 오고 있다.

○서북공정-서남공정의 연장선상

연구중심은 2002년 동북공정 착수 이전에 이미 신장웨이우얼 지역과 티베트의 분리 독립 차단을 위한 서북 및 서남공정을 진행했다. 동북공정은 이를 이어받은 제3기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서북공정과 서남공정이 추진된 지역이 중국 내에서 가장 지역 갈등이 심각한 곳. 이를 지역정부 차원의 문제로 국한시켜 보는 이들은 없다. 프로젝트의 공통점은 이들 지역이 중국역사의 일부라는 역사·고고학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유적지의 관광지화, 대대적 국책사업 진행 순으로 추진했다는 점이다.

○중국 역사 확장 ‘탐원공정’과 연계

동북공정은 중국의 신화시대를 역사시대로 편입하려는 중국 정부 차원의 단대공정(斷代工程·1996∼2000년), 중국 문명의 기원을 추적하는 탐원공정(探源工程·2003년∼)과 연결돼 있다. 단대공정은 신화와 역사가 섞여 있는 하상주(夏商周)시대의 역사연표 작성을 목표로 추진된 것이고 탐원공정은 5000년이라고 주장하는 중국 역사의 시원을 삼황과 요순시대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프로젝트로 알려졌다.

문제는 여기서 나온 결과물들이 동북공정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동북공정 연구물 중 하나인 ‘고대 중국 고구려 역사 속론’(2003년)이 고구려인이 은상(殷商)씨족에서 분리됐다고 주장하면서 그 시점을 기원전 1600∼기원전 1300년이라고 못 박고 나온 것도 단대공정의 연표에 의거한 것이다.

○역사교과서에 한국사 이미 사라져

외교부는 중국 정부가 이 논문들의 한국사 관련 역사 해석을 학생들에게 교육하거나 교과서에 반영하는 경우 동북공정의 연구 성과를 공식화한 것으로 간주하겠다며 교과서 개정 문제를 일종의 마지노선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중국 중고교 역사교과서에서는 이미 1948년 이전의 한국 역사가 모두 사라져가고 있다.

물론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과거 고구려-신라-백제의 지도와 이들 시대에 대한 설명이 등장했던 중국의 역사와 세계사 교과서 등에서 아예 1948년 이전의 한국 역사가 통째로 삭제된 교과서들이 실험교과서 형태로 도입되고 있다. 이는 한국 고대사 전체를 중국사에 포함시키기 위한 전초작업으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백두산공정 등 구체적 정책과 연결

동북공정이 진행되는 시점은 2004년 중국 내 고구려 유적의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묘하게 맞물려 있다. 중국에서는 현재 헤이룽장 성의 발해 상경 용천부 유적 등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이는 백두산 지역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백두산공정’과도 직결된다. 박선영 포스텍 교수에 따르면 중국 국가계획위원회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1994년부터 추진 중인 ‘중국 21세기 의제’의 하나로 ‘창바이(長白)산 삼림회복과 농림업체계 시범공정’이 들어있다는 것. 이 공정은 환경·생태 보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한민족의 명산인 백두산을 중국의 명산으로 탈바꿈시킴으로써 동북3성 일대에 대한 중국의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볼 수밖에 없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