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조림(造林)외엔 무대책

  • 입력 2002년 3월 22일 18시 02분


“자연현상 아닙니까. 우리는 더 죽을 지경입니다.”

황사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일 3국 관계자 회담이 열릴 때마다 한국과 일본측이 황사의 폐해와 함께 해결책을 촉구하면 중국측이 보이는 반응이다.

이는 동북아 3개국 간에 새로운 국제 이슈가 되고 있는 황사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잘 보여주는 발언이다.

사실 황사는 이산화황이나 산성비 등 다른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과 달리 지질학 기상학적 현상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측면이 강해 대책 수립에 한계가 있다.

황사의 최대 피해자는 황사의 발원지인 중국이나 몽골이다. 1957년부터 1996년까지 중국과 몽골에서는 무려 184건의 강력한 모래폭풍이 있었고 이는 헤아릴 수 없는 물적 인적 피해를 주었다.

하지만 문제는 이 같은 모래폭풍(황사)이 갈수록 빈번해지고 농도도 짙어져 발생국 자체 피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접국에도 실질적인 손실을 입히고 있다는 사실. 황사가 갈수록 심해지는 까닭은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와 산림개발로 인해 토양유실과 사막화가 급격히 진행되기 때문이다.

사막화 진행속도를 보면 60년대 이전에는 매년 1560㎢, 70∼80년대에는 2100㎢, 최근에는서울 면적의 4배인 2460㎢로 넓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가용 초지의 2%가 매년 사막으로 변하는 셈이다.

또 몽골은 국토의 90%가 사막화 위기에 처한 가운데 과거 30년 동안 목초지는 6만9000㎢ 감소하고 식물종류는 4분의 1로 감소했다.

따라서 황사 해결 방안도 궁극적으로 중국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서 찾을 수밖에 없다. 일본은 이미 지구환경기금 오부치기금 등을 활용해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지역에서 사막녹화사업을, 고비사막에서 방풍림조성활동을 지원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우리도 2000년 한중정상회담에서 중국 서부지역 대개발사업 중 조림사업을 지원하기로 합의, 작년부터 5년간 총 500만달러를 조림사업에 지원하고 있다.

최근 굵직한 국제행사와 스포츠 경기를 앞두고 있는 중국도 주룽지(朱鎔基) 총리의 주도로 2050년까지 생태환경건설 50년 계획을 수립해 경작지를 초지, 임야로 복원하고 황무지에 조림하는 등 나무심기에 나서고 있다.

우리도 단기적으로 황사 관련 조사연구를 통해 관측 예보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황사 발생 및 이동경로에 대한 연구 및 중국 생태계 복원 및 조림사업에의 참여를 통해 황사 피해를 최소화하는 수밖에 없다.

정성희기자 shch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