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개선…아이폰, ‘긴급통화’시 GPS 만”

  • 뉴시스
  • 입력 2024년 3월 25일 10시 09분


코멘트

방통위, 긴급구조 위치정보 '기준충족률·정확도·응답시간' 측정
국내폰은 기지국·GPS·와이파이 방식 위치정보 모두 제공
아이폰은 여전히 부족…샤오미폰은 제공 안 돼

ⓒ뉴시스
지난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출시 단말기는 기지국을 비롯해 위성항법장치(GPS), 와이파이(Wi-Fi) 방식 모두에서 위치정보를 제공했다. 외산 단말기 중 애플 아이폰은 긴급통화시에 GPS 정보만 제공했고 샤오미 모델은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통3사가 소방청·해양경찰청 등 긴급구조기관과 경찰관서에 제공하는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품질을 측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품질측정은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 이통3사가 제공하는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품질측정과 국내 출시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측정으로 나눠서 실시했다.

이통3사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은 긴급구조 상황을 가정해 도시, 지형, 실내외 등의 다양한 환경을 반영한 140개 지점에서 했다.

방통위는 구조자의 단말기 위치(GPS)와 와이파이 기능이 ‘꺼진(Off)’ 상태에서 긴급상황 발생 시 단말기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켜서(On)’ 측위기술(기지국·GPS·와이파이) 별로 이통3사가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긴급구조기관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지 측정했다.

품질측정 결과 이통3사의 거리(50m 이내)와 응답시간(30초 이내) 기준 충족률은 GPS가 98.2%에서 97.7%로 소폭 낮아졌고, 와이파이는 93.6%에서 96.8% 향상됐다.

측정 지점의 실제 위치와 측위된 위치와의 거리오차를 나타내는 위치정확도는 GPS 21.6m에서 11.3m, 와이파이 34.2m에서 20.1m, 기지국 107m에서 52.3m로 대폭 개선됐다.

요청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데 걸리는 응답시간은 GPS 5.8초→4.6초, 와이파이 4.1초→4.2초, 기지국 3.2초→3초로 전년대비 유사하거나 단축된 것으로 측정됐다.

이통3사별 품질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위치기준 충족률에서 GPS 방식은 LG유플러스 98.1%, SK텔레콤 97.6%, KT 97.4% 순으로 조사됐다.

와이파이 방식은 SK텔레콤 99.8%, KT 97.5%, LG유플러스 93%를 기록했다. 위치정확도는 GPS 방식의 경우 SK텔레콤 10.5m, LG유플러스 11.3m, KT 11.6m 순이며, 와이파이 방식은 SK텔레콤 13.2m, KT 20.6m, LG유플러스 32.3m, 기지국 방식은 KT 34.3m, SK텔레콤 54.6m, LG유플러스 55.1m 순으로 정확했다.

위치응답시간은 GPS, 와이파이, 기지국 방식 모두 SK텔레콤 각각 3초, 2.4초, 1.5초로 가장 빨랐고 KT, LG유플러스가 뒤를 이었다.

방통위는 국내 출시 단말기의 기능도 측정했다. 그 결과 유심이동 단말기의 경우 올해 기지국, GPS, 와이파이 방식의 위치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것으로 개선됐다. 자급제 단말기의 경우 2022년도 측정결과와 동일하게 기지국, GPS, 와이파이 위치정보를 모두 제공했다.

외산 단말기 중에서는 애플 아이폰이 정보주체가 긴급통화를 한 경우에만 GPS 정보를 제공했다. 샤오미 포코 F5의 경우, GPS·와이파이 모두 이통3사 측위 기능이 탑재되지 않아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방통위 관계자는 “긴급구조 정밀 위치측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단말기 해소를 위해 노력해 왔다”며 “측위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2022년 2월 이전 출시 단말기 중 2020년 이후 출시된 주요 단말기에 대해서는 이동통신사, 제조사와 협력해 측위 기능 탑재를 추진, 정밀측위가 제공되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