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탁기업 10곳 중 8곳 “납품대금 연동제로 위험부담 줄었다”

  • 뉴스1
  • 입력 2023년 10월 25일 10시 04분


코멘트
한기정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이 11일 오후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중소벤처기업부·공정위 합동 납품대금 연동제 현장안착 간담회에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는 오는 10월 4일 시행을 앞둔 납품대금 연동제의 현장 조기 안착 및 동행기업 추가 인센티브 부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3.9.11/뉴스1
한기정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이 11일 오후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중소벤처기업부·공정위 합동 납품대금 연동제 현장안착 간담회에서 모두발언 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는 오는 10월 4일 시행을 앞둔 납품대금 연동제의 현장 조기 안착 및 동행기업 추가 인센티브 부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3.9.11/뉴스1
납품대금 연동제 시범운영에 참여한 기업의 75%가 연동 계약 체결 과정 전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업 10곳 중 9곳은 ‘연동 계약을 다시 체결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5일 연동제 안착을 위한 중소기업계 현장 간담회에서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실시된 연동제 시범운영에 참여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시범운영 참여 수탁기업의 연동제에 대한 체감도를 △약정 체결 △리스크 및 공급망 관리 △재무적 편익 측면에서 조사·분석하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 결과 시범운영에 참여한 수탁기업 중 약 75.2%가 연동 계약 체결 과정 전반에 대해 만족했다.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0.8%에 불과했다.

또 응답 기업의 85.6%는 연동 계약을 다시 체결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재계약 의사가 없다고 밝힌 비율은 1.6%다.

체결 과정을 살펴보면 수탁기업의 89.6%가 ‘충분한 협의를 거쳤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6%다.

약정 이행과 관련해서는 원재료 가격 변동분 반영 정도, 기준지표 활용은 각각 수탁기업의 약 77.6%, 약 82.4%가 적정하였다고 응답했다.

납품대금 연동제 덕에 원재료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이 감소하는 등 재무적 효과까지 체감한 사례도 상당수 있었다.

응답기업의 30%가량이 수탁기업이 원재료 구매 부담 감소, 생산성 및 품질 향상, 매출액 증가, 영업이익률 증가를 경험하였다고 응답했다.

원재료 가격 변화율과 납품단가 조정률을 회귀분석한 결과, 회귀계수 값이 0.62로 원재료 가격이 1%p 상승하면 납품단가는 0.62%p 상승하는 관계에 있어 연동제가 현장에서 원활하게 작동 가능함이 검증됐다.

연동제 시행에 따라 납품물량 축소 등 부작용이 있었는지에 대해 수탁기업의 약 85.6%가 없었다고 응답했다.

수·위탁기업 모두 건의사항으로 인센티브 확대를 1순위로 꼽았다. 2순위는 원재료 가격 정보 제공, 3순위로는 제도 인식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수탁기업), 주요 원재료 해당 여부에 대한 공인기관의 확인서 발급 지원(위탁기업)이 많았다.

시범운영에 참여한 위탁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 인터뷰에서도 협력사의 공급망 안정과 생존을 위해 연동제 도입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중기부 측은 “수·위탁기업 양사가 단가를 확인하기 때문에 협력업체에서 일방적으로 단가 인상을 요구하던 시스템에 비해 훨씬 편리해졌다는 의견을 줬다”며 “연동 약정 체결 이후 사전에 협의된 방법에 따라 단가가 조정되어 협의에 소요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을 경험했다고 한다”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