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중국산, ‘엔저’ 일본산 공습… 철강업계 비상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中 내수침체에 수출물량 쏟아내
한국 수입량 올들어 30% 급증
일본도 가격 경쟁력 내세워 공세
인도-멕시코 등 잇단 보호장벽… 한국산 철강 수출도 어려워져

인도 정부는 냉간압연 코일이나 강판 등을 주력으로 하는 중국 수출 품목에 대해 이달 초 반덤핑 관세를 5년 동안 부과하는 조치를 취했다. 사진은 중국 최대 바오우철강의 코일 철강 생산공장. 사진 출처 바오우철강 홈페이지
인도 정부는 냉간압연 코일이나 강판 등을 주력으로 하는 중국 수출 품목에 대해 이달 초 반덤핑 관세를 5년 동안 부과하는 조치를 취했다. 사진은 중국 최대 바오우철강의 코일 철강 생산공장. 사진 출처 바오우철강 홈페이지
인도는 11일(현지 시간) 중국산 철강에 5년 동안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판매자들의 덤핑 가능성에 대한 현지 철강 업계의 우려가 몇 달 전 접수돼 철강 수입 상황을 자세히 모니터링해 왔다고 인도 당국은 설명했다. 실제 인도의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4월부터 7월까지 인도로 수출된 중국산 철강재는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한 60만 t(톤)으로 집계됐다.

인도 외에도 멕시코, 미국, 유럽연합(EU) 등도 중국산 저가 철강재를 겨냥한 제재를 이미 시행하거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 성장률 저하와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라 재고로 쌓인 중국산 저가 철강재가 글로벌 시장에 쏟아져 나오면서 시장 혼란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 中 철강 공습에 각국 ‘철강보호주의’


중국 철강 업계는 부동산 경기 침체 등에 의한 내수 시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 시장으로 철강재를 쏟아내고 있다.

12일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1∼7월 철강재류 수출량은 5192만508t으로 지난해 연간 수출량 6657만7209t의 78%에 달하고 있다. 올해 월평균 수출량은 741만7215t으로 작년 554만8101t보다 33.7%가 많다. 이에 따라 중국의 올해 연간 수출량은 8000만 t을 훌쩍 뛰어넘어 1억 t 이상이었던 2016년 이후 최대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과 가까운 한국과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지가 중국산 철강재의 주요 기착지가 되고 있다. 지역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5개국만 해도 중국산 철강재의 올해 월평균 수출량은 전년 동기(37만5976t)보다 32.3% 늘어난 49만7261t이다.

저가 중국산 철강재의 공습에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각국 제재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를 대상으로 수입 철강 관세를 최대 25% 기습 인상했다. 멕시코의 이런 움직임을 두고 업계에선 “사실상 중국산 저가 철강재를 겨냥한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또한 중국 등 일부 국가의 철강 과잉 생산을 겨냥한 새 관세를 도입하는 걸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다음 달까지 탄소 배출 등 환경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 세율이나 대상 국가 등에 대한 세부 사항을 협의를 통해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 한국, ‘저가’ 중국산에 ‘엔저’ 일본산까지


한국 수입 철강 시장 또한 봉형강과 선재 등 건설용 철강재를 중심으로 중국산 철강재의 대대적인 공습 대상이 되고 있다. 7월까지 한국으로 들어온 중국산 철강재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0%로 늘어난 527만4372t이다. 한국은 중국의 최대 철강 수출국이다. 이 기간 엔저 현상에 한국행 일본산 철강재 또한 6.1% 늘어났다. 국산 철강 업계로서는 ‘이중 난관’에 봉착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과 일본 열연 가격이 지난해 6월 대비 모두 20% 이상 낮아졌다”며 “그간 중국산 철강재를 꺼리던 국내 중견 건설사들 사이에도 경영 환경 악화에 저가 제품을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각국의 철강 보호주의 정책으로 한국 철강의 수출길 또한 교란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산 철강은 최근 각국의 무역 제재를 피하기 위해 가공을 다른 나라에서 하는 방식 등으로 우회 수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철강 업계의 한 관계자는 “탄소 규제 등의 방식으로 중국을 견제하려는 각국의 규제가 당장에 한국 철강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진 않는다”면서도 “무역시장에 각종 규제와 기준이 시시각각으로 변하면서 이에 대응하기가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中 철강 공습#철강업계 비상#철강보호주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