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만원 이자도 못 갚아” 빚에 허덕이는 20대…신용리스크 ‘빨간불’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23일 09시 33분


코멘트
ⓒ News1
ⓒ News1
# A씨(26)는 지난해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채무조정을 받았다. 이른 나이에 사업을 시작하며 B 캐피털에서 1400만원, C캐피털에서 900만원을 빌렸고 D카드사에서도 1300만원의 대출을 받았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사업이 잘 풀리지 않았고, A씨는 매달 100만원 이상의 원리금 상환을 감당할 수 없어 결국 개인워크아웃을 신청해 채무조정을 받고 상환 중이다.

빚 부담에 시름하는 20대들이 늘고 있다. 겨우 몇천원 수준의 이자도 갚지 못하거나, 결국 ‘개인워크아웃’(채무조정)을 통해 빚을 탕감받는 20대의 숫자가 최근 5년 사이 최대치를 기록하며 20대 신용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신용회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4654명의 20대가 개인 워크아웃을 통해 원금 감면이 확정됐다.

개인워크아웃은 빚을 갚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신용회복위원회가 중재를 통해 채무 원금을 최대 90%까지 줄여주고 이자 부담도 낮춰주는 제도다. 개인회생·개인파산 전 마지막 구제책이다.

개인워크아웃으로 채무를 감면받은 20대는 △2018년 2273명 △2019년 2325명 △2020년 3850명 △2021년 4019명 △2022년 3509명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급증했다 지난해 약간 줄었으나, 올해 다시 급격히 늘어났다.

1인당 평균 감면 추정액도 20대는 올해 상반기 88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 2018년(530만원) 대비 67% 증가하며 전 연령대 중 가장 증가율이 높았다.

20대들이 빚에 허덕이는 모습은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의 소액생계비 대출에서도 나타났다. 소액생계비 대출은 불법사금융에 빠지는 저소득·저신용 차주(연체자 포함)가 없도록 당일 최대 100만원을 대출해주는 제도로 지난 3월27일 출시됐다.
27일 오전 서울 중구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로 시민들이 들어서고 있다. 급전이 필요한 취약계층에게 최대 100만원까지 당일 대출해주는 소액생계비(긴급생계비) 대출이 이날부터 시작된다. 2023.3.27 뉴스1
27일 오전 서울 중구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로 시민들이 들어서고 있다. 급전이 필요한 취약계층에게 최대 100만원까지 당일 대출해주는 소액생계비(긴급생계비) 대출이 이날부터 시작된다. 2023.3.27 뉴스1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이 서금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소액생계비 대출을 받은 20대의 이자 미납률은 24.5%에 달했다. 이자 미납률은 전 연령대 중 20대가 가장 높았고 △30대 17.7% △40대 13.5% △50대 9.7% △60대 7.4% △70대 이상 7.2% 이 뒤를 이었다.

소액생계비 평균 대출 금액인 61만원에 대출 금리 연 15.9%를 적용할 경우, 첫 달 이자는 8000원 수준이다. 제도권 금융을 이용할 수 없는 취약 차주들이 몰리는 제도임을 고려하더라도, 월 1만원도 안되는 금액 조차 제대로 갚고 있지 못하는 20대의 수가 적지 않은 셈이다.

이처럼 20대들이 빚에 시달리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먼저 청년층 일자리가 감소하는 동시에 양질의 일자리도 줄어들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20대 이하 청년층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9만9000명 줄어든 400만5000명에 불과했다. 그중 26%(104만3000명)는 주당 36시간 미만 파트타임 근로자였다. 이처럼 직업 및 소득이 불안정한 와중에 고금리와 고물가로 지출 부담도 커졌다.

일각에서는 20대들이 주식이나 코인에 무리하게 투자하는 소위 ‘영끌’이나 ‘빚투’의 영향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 의원은 “코로나 기간을 거치며 일하고 싶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며 소득이 줄어든 것이 청년 개인워크아웃 증가의 이유”라며 “청년층의 은행권 연체율 증가, 소액생계비대출 이자 미납률 증가 등 각종 위기 신호가 감지되는 가운데 청년층의 부채 문제와 상환능력 제고에 대한 깊이 있고 근본적인 해결 방안 논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