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순살 아파트 표현 자제해 달라…천장엔 철근 다 들어가 있다”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1일 11시 20분


코멘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LH 무량판 구조 조사결과를 발표를 마친 뒤 긴급안전점검 결과 미흡현황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 News1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LH 무량판 구조 조사결과를 발표를 마친 뒤 긴급안전점검 결과 미흡현황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 News1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순살 아파트’ 표현 자제를 당부했다.

이 표현이 마치 아파트 천장에 철근이 들어있지 않다는 오해와 ‘무너질까’라는 불필요한 불안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순살 아파트는 지난 4월 인천 검단 신축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원인이 주차장 기둥에서 ‘전단보강근철근(보강 철근)’이 빠진 것으로 확인 된 뒤 관련 건설사 브랜드(상표) 이름에 빗대 나온 말이다.

이 일을 계기로 국토교통부가 LH가 발주한 아파트 91개 단지 전수 조사를 한 결과 15개 단지에서 철근이 누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 장관은 지난달 31일 이와 관련된 국토부 브리핑이 끝난 뒤 질의응답 시간 때 “질문이 없는 막간을 이용해서 참고로 (말씀드린다). 언론이 ‘순살 아파트’라는 이름을 붙였더라‘면서 ”’순살 아파트‘ 표현이 감각적으로 알기 쉽게 하는 면은 있지만 국민들이 건설에 관한 잘못된 정보를 받아들일 수도 있다“고 표현 자제를 당부했다.

원 장관은 ”보강철근이 빠져 있는 것이지 철근 자체가 빠진 게 아니다“며 왜 순살 아파트 표현이 잘못된 것이라고 하는지 설명했다.

즉 ”바닥이자 천장을 이루고 있는 판에는 여러 층으로 철근이 가로, 세로로 다 들어가 있다“는 것으로 ”그것(천장 철근)을 빼먹은 것이라면 우리나라가 정말 대한민국이 아니다“고 아파트를 떠받치고 있는 천장에 철근이 없다는 게 말이 되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원 장관은 무랑판 구조(기둥이 직접 콘크리트 천장을 지지하는 방식)와 관련해 ”기둥 주변에 서로 층층이 철근을 감아줘야 한다. 구조를 계산해 10개를 감아라, 5개를 감아라고 설계도면에 표시하고 시공 때 정확히 감아야 되는데 이 부분에서 조금이라도 빠진 것을 이번에 저희가 다 적발해냈다“며 사람이 사는 아파트 내부가 아닌 지하 주차장 기둥에서 일부 감아야 할 철근이 빠진 것을 지붕이 무너질 수 있는 것처럼 오해할 수 있는 ’순살 아파트‘로 표현하진 말아달라고 부탁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