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미분양 4개월째 감소…‘악성 미분양’은 2년만 최다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31일 07시 21분


코멘트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 제공)
미분양 주택 물량이 4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미분양 물량은 여전히 위험선인 20년 장기 평균(6만2000가구)을 웃도는 수준인 데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 2021년 10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분양 4개월째 줄었지만 악성 미분양은 늘어…인허가·분양·착공 ‘트리플다운’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6388가구로 전월(6만8865가구) 대비 3.6%(2477가구) 감소했다.

미분양 물량은 올해 2월 7만5438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4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수도권은 1만559가구로 전월(1만799가구) 대비 2.2% 감소했고, 지방은 5만5829가구로 전월(5만8066가구)과 비교해 3.9% 줄어들었다.

서울 미분양은 같은 기간 1144가구에서 1181가구로 소폭 증가했다. 지방 시도 가운데서는 대구의 미분양 물량이 1만1409가구로 가장 많았고 △경북(8276가구) △충남(7023가구) 등 순이었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미분양은 전월보다 1.9% 감소한 8230가구였고, 85㎡ 이하는 5만8158가구로 전월(6만472가구) 대비 3.8% 감소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9399가구로 전월(8892가구) 대비 5.7%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은 늘어나지만 미분양 자체는 줄어드는 현상은 건설경기 악화로 분양 물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올해 1~6월 전국 공동주택 분양은 6만6447가구로 전년 동기(11만6619가구) 대비 43.0% 감소했다. 수도권은 3만664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34.4% 감소, 지방은 2만9803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0.9% 줄어들었다.

착공실적은 반토막이 났다. 같은 기간 전국 주택 착공물량은 9만2490가구로 전년 동기(18만8449가구) 대비 50.9% 줄었다. 수도권은 4만850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1.9% 줄었고 지방은 4만3984가구로 49.8% 감소했다.

전국 주택 인허가는 18만9213가구로 전년 동기(25만9759가구) 대비 27.2% 감소했다. 수도권은 7만229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4.8% 줄었고 지방은 11만6916가구로 28.5% 감소했다.

준공실적은 상승세다. 전국 주택 준공은 18만9225가구로 전년 동기(18만3277가구) 대비 3.2% 증가했다. 수도권은 10만6933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 지방은 8만2292가구로 5.0% 감소했다.

◇매매거래량 5월比 줄어들어…임대차거래 중 월세 비중 55.3%

주택 매매거래는 예년에 비해서는 회복세를 보였지만 5월에 비해서는 줄어들었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달 5만2592가구로 전월(5만5176가구) 대비 4.7% 감소, 전년 동월 대비로는 4.5% 증가했다. 수도권은 지난달 2만3989가구로 5월 대비 3.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0.5% 증가했다. 지방은 2만8603가구로 전월 대비 6.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0.01% 증가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매매량이 5만2592가구로 작년 동월보다 4.5% 증가했다. 아파트 외 주택 거래량은 1만2970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41.5%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량은 지난달 21만3264건으로 전월(27만6950건) 대비 23.0% 감소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0.3% 증가했다. 수도권은 14만4800건으로 전월 대비 22.7%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했다. 지방은 6만8465건으로 전월 대비 23.6%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4% 줄어들었다.

전세 거래량은 9만7964건으로 전월 대비 14.4% 감소했고 전년 동월 대비 7.5% 줄어들었다. 월세 거래량은 11만5301건으로 전월 대비 29.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8.1% 증가했다.

1~6월 월세 거래량의 비중은 55.3%로 전년 동기(51.6%) 대비 3.7%포인트(p) 증가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