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촌주공 50평 입주권 30억 육박…‘조합원 싹쓸이’ 중대형 시세 관심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26일 09시 24분


코멘트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공사 현장. 2023.3.20 뉴스1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공사 현장. 2023.3.20 뉴스1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를 재건축한 올림픽파크포레온 중대형 평형 시세에 관심이 쏠린다. 전용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평형은 대부분 조합원에게 돌아가 일반분양은 되지 않았는데, 올해 입주권 거래가 활발해지자 일부 매물로 나오면서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림픽파크포레온 전용 134㎡(50평) 7층 입주권이 이달 7일 29억원에 팔렸다.

전용 134㎡ 입주권이 거래된 건 올해 1월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다만 13층 매물이 27억8190만원에 팔린 해당 1월 17일 중개거래 건은 전날(24일) 취소됐다.

이달 29억원 거래도 추후 취소 가능성이 있지만, 일단 수치상으론 30억원에 육박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올림픽파크포레온은 전용 46~219㎡ 85개동 총 1만2032가구로, ‘단군 이래 최대 규모 재건축’ 수식어답게 다양한 평형이 구성됐다. 그중 전용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평형은 대부분 조합원 6145가구에 돌아가 ‘귀한 몸’이 됐다.

전용 139㎡ 총 9가구 중 2가구가 일반분양된 것이 전부다. 전용 95㎡ 821가구를 비롯해 40평대인 전용 109㎡ 1349가구와 전용 134㎡ 303가구 모두 조합원 차지다. 50평대 이상인 전용 144㎡ 16가구와 전용 167㎡ 9가구 등 펜트하우스급도 일반분양엔 나오지 않았다.

일각에선 올림픽파크포레온 분양이 초반 고전한 배경으로 당시 금리 인상 외에도 중대형 물량이 많지 않은 영향도 있었단 분석도 나온다. 올림픽공원과 한강을 낀 입지에 대단지 신축으로 공급되는 아파트인데 대형 평형이 지나치게 희소했다는 지적이다.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의 경우 가구수가 가장 많았는데 전체 4380가구 중 1273가구가 일반분양돼 초반 완판됐다. 전용 59㎡ 1880가구도 1492가구가 분양시장에 나와 흥행했다.

소형 평형인 전용 29~49㎡의 경우 정당 계약률이 60%대에 그쳐 올해 3월 무순위 청약이 이뤄진 바 있다. 전용 49㎡는 전체 1200가구 중 903가구, 전용 39㎡ 1724가구 중 1160가구, 전용 29㎡ 11가구가 시장에 나왔고 이 중 전용 29㎡ 2가구, 전용 39㎡ 638가구, 전용 49㎡ 259가구가 이른바 ‘줍줍’으로 주인을 찾았다.

전용 134㎡외에 분양시장에 나오지 않은 중대형 평형의 올해 입주권 거래를 보면 전용 95㎡가 3건 팔렸고, 가격은 지난달 2일 거래된 18억7715만원(6층)부터 지난 3월 31일 19억7135만원(9층) 수준에 거래됐다.

전용 109㎡ 입주권은 지금까지 4건 거래됐는데, 최고 가격은 올해 4월 1일 22억6739만원(10층)이고 최저는 같은 달 5일 20억3520만원(4층)이었다.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단지 안에서도 중대형은 워낙 세대수가 많지 않아 가격 변화가 크진 않고 소형 평형 등락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고 귀띔했다. 또 “평형이 크면 조합원도 추가 분담금이 높아 매물로 더 나올 순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 평형을 기준으로 한 둔촌주공 입주권은 지금까지 52건 거래됐고 그중 3건은 취소됐다. 분양가와 비교 가능한 전용 84㎡ 입주권은 지난달 24일 19억510만원(9층)이 최고가에 팔렸는데, 단순 비교 시 12억~13억원 수준 분양가 대비 7억원 안팎의 차익을 본 셈이다.

오는 2025년 1월 입주일이 가까워질수록 조합원 물량인 입주권 거래는 좀 더 활발해지지 않겠느냐는 게 시장의 관측이다. 오는 12월 분양권 전매제한 완화에 이어 현재 계류 중인 실거주 의무 폐지 법안이 통과하면 급증할 분양권 매물도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