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디어-콘텐츠 육성에 5200억 지원…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와 격차 줄여야”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6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총 1000억 규모 펀드 2개 신규조성
IBK기업銀 등 정책금융 800억 지원

정부가 디지털 분야의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업체를 육성하기 위한 총 5200억 원 규모의 투자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넷플릭스 등 글로벌 플랫폼과의 경쟁과 경기 침체에 따른 자금 환경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업계를 지원하자는 취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서울 중구 ‘1인 미디어 콤플렉스’에서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투자 활성화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가 투자 지원 방안을 마련한 것은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경쟁 심화로 국내 실시간동영상서비스(OTT) 운영사의 경영난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국내 대표 OTT인 티빙과 웨이브는 지난해 1200억 원 안팎의 영업손실을 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과 국내 OTT의 투자액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어 정책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내년까지 1000억 원 규모의 신규 펀드 2개를 조성하기로 했다. 투자 대상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하는 OTT 업체, 크리에이터(창작자)와 메타버스(3차원 가상공간) 기술을 활용하는 콘텐츠 기업이다.

IBK기업은행 등은 800억 원 규모의 정책 금융을 지원한다. 기업은행은 앞으로 3년간 미디어 스타트업에 1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또 신용보증기금과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업체에 700억 원 규모의 대출과 보증도 제공한다.

과기정통부는 KT와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인터넷(IP)TV 3사를 통해 총 3400억 원 수준의 투자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방송통신위원회와의 협의를 거쳐 콘텐츠에 적용된 간접광고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해외 자본을 통한 투자 유치도 추진한다. 이미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에 국내 11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업체가 투자 유치 제안서를 제출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민관 합동 투자설명회도 이어가기로 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산업계에 자금 공급을 지속해서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민구 기자 warum@donga.com
#미디어-콘텐츠 육성#글로벌 ott와 격차 줄여야#1000억 규모 펀드 2개 신규조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