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생산, 30개월만에 최대폭 감소…고금리·고물가에 회복세 약화

  • 뉴스1
  • 입력 2022년 11월 30일 08시 04분


코멘트
10월 산업 생산이 4개월 연속 감소하고 소매판매(소비)도 두달째 침체하면서 산업활동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5.4(2015년=100)로 전월 대비 1.5% 줄었다.

7월(-0.2%), 8월(-0.1%), 9월(-0.4%)에 이은 넉 달 연속 감소다. 넉 달 연속 감소는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1~5월 이후 처음이다.

감소폭은 2020년 4월(-1.8%) 이후 30개월 만에 최대다.

생산은 광공업(-3.5%)과 서비스업(-0.8%) 등에서 줄었다. 광공업 생산은 2020년 5월(-7.3%), 서비스업은 같은해 12월(-1.0%) 이래 최대 감소다.

광공업 생산은 광업(-9.2%), 제조업(-3.6%), 전기가스업(-1.9%)에서 모두 줄었다. 제조업은 반도체(0.9%)가 소폭 반등했으나 자동차(-7.3%), 기계장비(-7.9%)에서 줄면서 큰폭으로 하락했다.

서비스업생산은 0.8% 감소했다. 주식거래 축소로 금융?보험(-1.4%),이 감소하고, 수출입·주택거래 부진으로 운수창고(-1.5%)·부동산(-3.8%) 감소 흐름이 지속됐다.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뉴스1DB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뉴스1DB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승용차, 의복 등 판매가 줄어 120.4(2015년=100)로 0.2% 감소했다.

소비는 3월(-0.7%)부터 7월(-0.4%)까지 5개월 연속 감소했다 8월 반등했으나, 9월(-1.8%) 다시 감소로 돌아서 두 달 연속 줄었다. ‘이태원 참사’ 영향도 일부 있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설비투자가 전월 대비 보합을 기록하면서 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뒷걸음치는 ‘트리플 감소’는 면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내 경기둔화 우려가 증대되는 상황에 수요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진 않고, 투자자금 조달 비율은 상승하는 상황이라 당분간 좋은 모습을 보이긴 어렵겠지만 10월까진 나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에는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감소했으나 이번에는 2개 지표가 부진한 것이다.

건설기성은 3.8% 늘어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어 심의관은 “광공업 생산이 부진하고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가 주춤하면서 경기 회복 또는 개선 흐름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2022년 10월 산업활동동향 ⓒ News1
2022년 10월 산업활동동향 ⓒ News1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102.4)는 광공업생산지수와 내수출하지수가 감소했으나 수입액, 건설기성 등이 증가해 전월 대비 보합을 나타냈다.

미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99.2)는 재고순환지표, 기계류내수출하지수가 늘어난 반면 건설수주액, 코스피 등이 감소해 한 달 새 0.1p 하락했다. 이는 4개월 연속 하락이다.

어 심의관은 “선행지수 하락은 글로벌 긴축 전환에 따라 금융 여건이 악화되며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이 영향을 주고 있다”며 “4개월 연속 하락이라 유심히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나 어떤 판단을 내리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외이슈 중심 하방요인이 많아 수출, 제조업이 둔화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고 내수가 회복·개선 흐름을 유지해내느냐가 관건”이라며 “물가가 높은 수준이고 금리도 상승 흐름이 있어 향후 경기흐름도 굉장히 불확실성이 크다. 수출, 제조업은 중국 경제성장이 얼마나 빨리 안정을 찾는지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는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대해 “10월은 수출 부진 등으로 광공업 생산이 크게 감소한 가운데 그간 경기회복을 견인해온 소비도 추가상승이 제약되며 회복흐름이 약화하는 조짐이다”라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향후 전망에 대해 “글로벌 경기둔화, 반도체?부동산 경기하강으로 수출?투자 여건이 악화되는 가운데 내수 회복강도가 제약되면서 향후 경기흐름의 불확실성이 증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재부는 “생산측면에서 수출 감소세 지속,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영향 등이 향후 부담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고 소비·투자의 경우 이태원사고, 반도체?부동산 경기 하강, 고물가, 금리 상승 등이 리스크 요인이다”고 밝혔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