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환율 영향 요인 촘촘히 관리…과도한 불안은 불필요”

  • 뉴스1
  • 입력 2022년 9월 22일 08시 19분


코멘트
22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비상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마치고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과 기자들에게 브리핑하고 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22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비상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마치고 추경호 경제부총리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과 기자들에게 브리핑하고 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달러·원 환율 흐름과 관련해 환율 수준 이면에서 가격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을 촘촘히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과 함께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이날 새벽 기준금리 결정 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00~3.25%로 0.75%포인트(p) 인상했다. 이는 사상 첫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이다.

전 세계적인 강달러 현상이 심화되면서 달러·원 환율 상승 압력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와 관련해 추 부총리는 “연준의 향후 긴축 경로 등이 당초 시장의 예상 수준을 뛰어 넘으면서 이날 새벽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이 다소 확대됐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기재부와 한은, 금융위, 금감원 등 경제 팀은 긴밀한 공조 하에 ‘넓고 긴 시계’를 견지하며 현 상황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앞으로 한동안 전 세계적으로 높은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 있는 만큼 주요국 동향 종합 고려해 현 상황을 객관적으로 정확히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단기간 내 변동성에 대해서는 적극 관리해 나가는 한편, 내년 이후의 흐름까지도 염두에 두고 최적의 정책 조합을 모색해 나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앞으로 발생 가능한 주요 리스크와 상황별 대응 조치를 선제 점검해 어떤 상황에서도 신속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환율 영향 요인 관리에 대해 “연기금 등 국내거주자의 해외투자 흐름, 수출·수입업체들의 외화자금 수급애로 해소 등 외환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시장상황에 맞춰 단계적으로 조치해 나가겠다”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추 부총리는 “과거 금융위기 등에 비해 현재 우리의 대외건전성 지표들은 양호한 상황”이라며 “과도하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금융·외환시장의 높은 불확실성이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와 중앙은행 등은 원팀 정신으로 상시 긴밀한 정책 공조를 바탕으로 한 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시장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해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