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세·월세 시장 오나…현실이 된 전세난, 밀려나는 세입자

  • 뉴스1
  • 입력 2020년 7월 25일 09시 09분


코멘트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와 주택모습. © News1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와 주택모습. © News1
정부의 ‘7·10 대책’ 발표 이후 매매뿐만 아니라 전세시장도 불안한 모습이다.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강화로 매물 잠김현상이 심화된데다, 집값이 급등한 저평가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 키 맞추기가 나타나면서다.

부동산 업계는 급격한 전셋값 상승으로 시장 구조가 ‘전세’보다 ‘반전세’나 ‘월세’로 흐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25일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전셋값은 지난해 6월 1751만원에서 1년 만에 1865만원으로 113만원 올랐다. 상승률은 6.47%다.

특히 강남구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셋값은 같은 기간 동안 2769만원에서 3148만원으로 13.6% 상승했다. 서초구(8%), 송파구(7.5%) 등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서도 전셋값 상승은 두드러진다. 이달 셋째 주(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2% 올랐으며, 56주 연속 상승세다.

강동구(0.28%)와 송파구(0.23%), 강남구·마포구(0.2%), 서초구(0.18%), 성동구(0.16%), 용산구(0.14%), 성북구(0.12%) 등 강남과 강북을 가리지 않고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먼저 전셋값 상승의 원인으로 집값 상승이 꼽힌다. 집값이 계속 오르면서 전셋값 역시 이에 맞춰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또 정부가 정책으로 다주택자에 대한 각종 과세를 강화하는 등 수요억제책을 펴면서 전세 물량 자체가 줄어든 것도 원인이다. 수요는 여전한데 공급이 줄어드니 값이 비싸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여기에 일부 집주인들을 중심으로 아예 전세 계약 연장을 포기하고 본인이 거주하거나 월세로 전환해 세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움직임도 전셋값 상승에 일조하고 있다.

세 부담이 늘어나고 추가 규제 강화 가능성이 우려되는 데다, 금리까지 초저리인 상황에서 집주인 입장에서는 전세 계약을 연장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설명이다.

정부와 여당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임대차 3법’(전월세신고제·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도 전셋값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집주인들이 시행 전 전셋값을 미리 최대한 올리려고 한다.

업계에서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전셋값 동반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전세 매물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반전세나 월세 매물이 채울 수도 있다.

불어난 전세금을 부담하기 어려운 세입자와 전세 메리트를 느끼지 못하는 집주인의 이해가 맞아떨어져 월세나 반전세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서울 강남의 A 공인중개사는 “전세도 심하면 2억 원씩 올려서 계약한다”라며 “보증금을 그대로 두거나 조금 올리려면 월세를 못 해도 40만~50만 원씩은 받아야겠다는 집주인도 있다”라고 말했다.

B 공인중개사는 “집주인들 사이에 보유세 부담을 월세로 메꾸려는 심리가 있다”라며 “정부의 수요억제 정책 때문에 시장이 불안정하니 그 피해가 세입자에게 전가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