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감동경영]스마트 팜으로 농업 생산·유통·수출과정 혁신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2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농림축산식품부 ‘스마트 팜’

 농림축산식품부가 ‘스마트 팜’의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과학기술을 접목하여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

 스마트 팜이란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 최적의 환경으로 관리해주는 농장으로, 사람이 관리했을 때보다 노동력은 절감되고 생산성은 높아져 우리 농업의 위기를 타개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서울대에서 실시한 스마트 팜 도입 농가의 성과분석 결과를 보면, 1인당 생산량이 40.4% 향상되고 병해충 및 질병 발생은 53.7% 감소하는 등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장에서도 스마트 팜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스마트 팜을 도입하는 농가가 점점 더 빠르게 늘고 있다. 농식품부는 “스마트 온실의 경우 2014년 60ha로 시작해 2015년 364ha, 2016년 1077ha에 보급했고 스마트 축사는 매년 30채, 156채, 234채에 보급했다”며 스마트 팜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 팜은 단순히 생산성만 높여주는 것이 아니라 유통이나 수출 등에서도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을 일으키고 있어 이목을 끈다.

 전남 강진의 한 농업회사법인은 여러 스마트 팜 농가들이 연합해 파프리카를 공동생산, 공동판매하는 조직화에 성공했다. 스마트 팜을 이용하면 농가마다 서로 다른 경작환경을 균일하게 만들어 고품질 농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그 결과 생산량의 40%가량을 일본으로 수출하고, 대형식품기업에 직접 납품까지 할 정도로 품질, 가격, 생산량 등 모든 측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이 법인은 스마트 팜을 통해 생산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을 혁신한 덕분에 연매출이 100억 원이 넘는 건실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농식품부는 스마트 팜을 중심으로 농가들이 조직화하여 높은 품질과 생산량을 확보하고, 대형 유통업체와 직거래를 하거나 해외로 수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올해 수출전문 시설원예 스마트 팜 온실신축 지원사업을 새로 도입해 대규모 스마트 팜 조성에 국비 100억원을 투입하기로 한 데 이어 내년부터는 규모화된 스마트 팜 농가나 법인 등에 유통 및 수출 관련 사업을 우선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스마트 팜이 농장을 최적의 환경으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보니 과거에는 외부 환경과 분리된 시설 내에서 작물이나 가축을 기르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겼다. 하지만 최근 들어 노지에서도 스마트 팜을 이용한 다양한 성과사례가 등장하면서 자본력 있는 시설원예나 축산 농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스마트 팜을 도입할 수 있게 됐다.

 과수의 경우 이미 스마트 팜 확산사업에 포함되어 관수, 시비 등을 자동제어하거나 병해충을 예찰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보급되고 있고, 밭작물에도 스마트 팜을 적용할 수 있는 모델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농식품부 창조농식품정책관은 15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스마트 팜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을 열고 그간 추진한 스마트 팜 정책에 대해 농업인, 관련 업계 및 전문가 등의 의견을 듣고 향후 추진방향을 모색했다.

 스마트 팜 운영실태 및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결과와 한국형 스마트 노지 모델 확산 방안, 스마트 팜 우수사례 등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었다며 이를 반영해 스마트 팜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미래 농업의 큰 축을 담당하게 될 스마트 팜이 앞으로 어떻게 더 발전해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민식 기자 mskim@donga.com
#농림축산식품부#스마트팜#농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