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전5기 민영화 시도 끝에… ‘쪼개 팔기’ 통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1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12조8000억 公자금중 83% 회수

 4전5기의 우리은행 민영화 과정은 험난했다. 13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예금보험공사 보유 지분 29.69%를 매각하기로 결정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민영화의 퍼즐’이 완성됐다.

 막대한 공적자금 투입으로 2001년 4월 우리금융지주가 설립된 뒤 우리은행은 ‘정부 은행’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지냈다. 2010년부터 4차례에 걸쳐 ‘주인 찾기’에 나섰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우리은행의 전신은 대한제국 시절인 1899년 세워진 대한 천일은행. 광복 후 한국상업은행으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 우리은행의 암흑기는 1997년 외환위기로 시작됐다. 당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8% 이하 은행을 정리한다는 금융 당국의 방침에 따라 상업은행은 한일은행과 합병됐다.

 예금보험공사가 두 은행에 3조3000억 원을 지원하면서 1998년 12월 합병은행인 ‘한빛은행’이 탄생했다. 이후 대우그룹 워크아웃(기업개선절차)으로 부실이 커진 평화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하나로종합금융 등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한빛은행을 포함한 5개 금융사 주식을 넘겨받은 우리금융지주가 2001년 출범했다. 이듬해 한빛은행은 우리은행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들 금융사에 투입된 공적자금만 약 12조8000억 원에 이른다.

 정부의 품에 들어간 우리은행이 민간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은 험난했다. 2010년 처음 경영권 매각을 시도했지만 몸집이 워낙 큰 탓에 인수할 만한 곳이 나타나지 않았다. 2012년까지 3차례에 걸친 민영화 시도는 경쟁 입찰이 성립되지 않아 모두 유찰됐다. 3차 매각 때는 예비입찰제안서를 제출한 곳이 한 곳도 없었다.

 4차 민영화 시도는 계열사를 분리하는 ‘쪼개 팔기’ 방식으로 진행됐다. 2014년 증권과 지방은행 계열사 매각을 통해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경남은행, 광주은행이 각각 새 주인을 찾았다. 우리은행은 경영권 지분(30%)과 나머지 지분(26.97%)을 따로 매각하는 ‘투 트랙 방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5.94%의 소수 지분만 팔렸다. 이번 5번째 매각에서 경영권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 카드를 꺼내 든 것이 효과적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애진 기자 jaj@donga.com
#우리은행#민영화#쪼개 팔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