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경영 지혜]전술 매뉴얼 못갖춘 조선군 ‘쌍령전투’서 최악 졸전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0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병자호란 와중인 1637년 1월, 현재의 경기도 광주 동쪽 약 16km 지점에 있는 쌍령에서 조선군과 청군 간 전투가 벌어졌다. 바로 한민족 역사상 최악의 졸전(拙戰)으로 꼽히는 쌍령전투다. 조선군 4만 명이 청군 300여 명에게 전멸했다는 기록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사실일 리가 없다. 쌍령 지역은 절대 4만 명의 병력이 주둔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청군의 수도 전체 병력이라기보다는 돌격전을 펼친 기병 수라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전체 병력 면에선 오히려 조선군이 청군보다 적었을 공산이 크다.

그렇다면 수적 열세가 쌍령전투 패전의 이유일까. 아니다. 진짜 이유는 조선군의 실전훈련 부족, 이로 인한 기초적 전술 매뉴얼의 부재다. 화약이 비싸다 보니 당시 조선군 병사 한 명에게 지급된 화약은 고작 2냥이었다. 이는 겨우 10발 정도를 발사할 수 있는 양이었다. 비싼 화약을 아껴야 하니 훈련이 제대로 됐을 리 없다. 쌍령전투 당시 조선군이 전장에서 화약이 떨어졌다고 적에게 들리도록 소리를 지르고, 화약을 분배하다가 불을 내고, 모든 화약을 한 군데에 모아 놓은 건 실전 훈련의 부재를 증명한다.

조총은 사격 속도가 느려서 기병이 저지선을 돌파하면 속수무책이었다. 그래서 청군의 기병 돌격을 저지하려면 창검병을 외곽에 배치해 저지하고 고지에서 사격하는 게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조선군은 목책을 바리케이드 삼아 사격전을 폈고 청국 기병이 목책을 돌파하자 붕괴할 수밖에 없었다.

실전훈련과 경험을 통해 효과적 전술을 찾고 최소한의 실전 매뉴얼을 갖춰야만 올바른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매뉴얼을 맹종하는 건 문제지만 실전에서 검증된 지침과 새로운 전술 창안의 기반이 될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매뉴얼의 가치를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실용적인 지침이 없다면 작전 논의는 추상적인 관념론으로 흐를 뿐이다.

임용한 한국역사고전연구소장
#조선군#쌍령전투#매뉴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