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드림/기고]스티븐 웨버 교수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이자 생존의 길”

  • Array
  • 입력 2012년 9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모니터그룹 고문 파트너·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스티븐 웨버 모니터그룹 고문 파트너·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스티븐 웨버 모니터그룹 고문 파트너·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일자리 창출 능력이 곧 국가경쟁력이며 다가오는 저성장 시대에 생존할 수 있는 길이다.”

스티븐 웨버 모니터그룹 GBN 고문 파트너 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사진)는 26일 동아일보에 보낸 기고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또 그는 “기업은 이익뿐 아니라 일자리도 창출해야 한다”며 “일자리 창출은 정부, 기업, 근로자 등 모든 이해 당사자가 협력해야만 가능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기고문의 요약문.

일자리 창출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된 세계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한 최우선 과제다. 유로존 국가들의 실업률은 1999년 유로존 출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11.3%이며 스페인의 청년 실업률은 50%에 육박한다. 미국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63.5%로 1980년대 초반 이후 가장 낮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은 회복세에 접어들었지만 고용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다. 사람들은 직장이 없으면 제대로 소비하지 못한다. 세계적으로 ‘총수요’가 줄어든다는 뜻이다.

특히 장기간 일자리를 얻지 못하면 실업자는 물론이고 그 가족도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악화되고 불행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아무리 경제가 성장하고 기업의 이익이 늘더라도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사회는 실패한 사회다.

일자리 창출은 정부와 기업 중 어느 쪽의 책임일까. 쉽게 생각하면 양쪽 모두의 책임처럼 보이지만 꼼꼼히 뜯어보면 정부와 기업 어느 쪽의 책임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정부는 기업이 효율적인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법과 정책을 만들고, 기업은 주주를 위해 이익을 내려고 노력한다. 일자리는 그런 활동의 간접적인 결과로 나타난다. 문제는 현재 세계경제에서 이런 시스템이 원활히 작동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전 같으면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시대가 바뀌면서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이제는 정부, 기업, 노동조합 등 모든 이해 당사자가 경제성장과 복지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 갑자기 나타난 누군가가 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줄 수 없으며 문제가 저절로 해결될 때까지 기다릴 시간도 없다.

이미 세계적으로 성공한 기업들은 ‘기업가 정신’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 ‘노동시장 회복’ 등 다양한 경제·경영 이슈를 다루기 위해 정부, 근로자와 다각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한 나라의 일자리창출 역량은 그 나라가 제대로 된 경제시스템을 갖췄는지 판별해주는 ‘리트머스 시험지’다. 사회의 일자리 창출능력 제고는 다가오는 저(低)성장 시대의 생존법이며 국가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길이기도 하다. 사회 내의 모든 이해 당사자가 밀접하게 협력하는 것만이 이것을 가능케 한다.

스티븐 웨버 모니터그룹 고문 파트너·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