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이전을 앞두고 공무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가기는 가야겠는데 집도 마련해야 하고 배우자와의 동거(同居), 아이들 교육 문제 등 이런저런 걱정에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다. 특히 여성 공무원들이 더욱 동요하고 있다. 미혼일 경우 “이러다 시집도 못가는 것 아니냐”며 한숨이다. 이 때문에 서울에 남을 방법을 찾는 공무원이 부쩍 늘었다.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등 정부 부처 이전 뒤에도 서울에 남는 타 부처로의 전출을 신청하거나 민간기업으로의 이직을 꾀하는 공무원이 많아졌다고 한다.
2014년까지 세종시 이전 대상은 9부2처2청 등 35개 기관이다. 부처 공무원 1만500명에다 국책연구기관 연구원을 합하면 1만8000명 정도가 세종시로 옮겨가 일해야 한다. 올해 8월 행정안전부의 ‘세종시 이전대상 기관 공무원’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5017명 가운데 ‘혼자 이주하겠다’는 응답이 35%에 달했다. ‘아예 이주하지 않고 출퇴근하겠다’는 응답도 12%였다. ‘가족과 함께 이주하겠다’는 응답은 절반가량인 53%에 그쳤다. 이주를 희망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녀교육’이 42%로 가장 많았고 ‘배우자의 직장’이 40%, ‘생활편의시설 부족’이 5%였다.
공무원 지원대책도 전무하다. 이사비용 및 이주수당은 얼마나 지급할 건지, 자녀교육 지원책은 뭔지, 주택구입자금이나 전세자금 융자는 어떻게 해줄 건지 구체적인 지원책은 마련돼 있지 않다. 보다 못한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14일 기자회견에서 “공공임대아파트 규모 확대 및 무상임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전 대상 기관 공무원의 불안감이 더 커지고 업무 분위기가 흐려지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는 정주시설 조성 및 지원책 마련을 서두르는 게 맞는 일일 것이다.
김상수 산업부 차장 ssoo@donga.com
▲동영상=세종시법 정기국회 때 통과 예정
《 화제의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