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세계1위로”15조 투자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7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정부, 10년 육성 로드맵 확정

전기차용 중대형 전지에 초점
석·박사급 인력 1000명 양성
CO2 활용기술에도 2조 투자

10년 뒤 한국을 2차 전지 분야의 세계 1위 국가로 키우기 위한 정부 전략이 확정됐다. 민간기업과 함께 2020년까지 2차 전지 연구개발(R&D)에 15조 원을 투자하고, 해당 분야의 석·박사 인재를 1000명 이상 육성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이를 통해 2차 전지 분야의 글로벌 소재기업을 10개 이상 육성하고 세계시장 점유율도 50%로 높인다는 목표다.

지식경제부는 11일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녹색성장위원회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의 ‘2차 전지 경쟁력 강화 통합 로드맵’을 확정해 1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제8차 녹색성장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차세대 친환경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2차 전지는 2020년까지 시장규모가 현재(123억 달러)의 6배 이상(779억 달러)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종전에는 휴대전화나 노트북컴퓨터 등 소형 전자제품에 주로 쓰이던 것이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대규모 에너지저장용으로 확대되면서 중대형 시장이 소형 시장보다 10배 이상 빠르게 커지는 추세다.

지경부 측은 “한국의 소형 2차 전지 경쟁력은 현재 세계 1위인 일본과 비슷하지만 중대형 분야 역량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며 “중대형 시장을 겨냥한 R&D에 4조∼5조 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현재 2차 전지 분야 1위 국가인 일본은 세계 시장의 43%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를 한국(32%)과 중국(21%)이 추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2차 전지 원천기술력 및 소재기술력은 각각 일본의 30%, 50% 수준에 지나지 않아 그 격차가 매우 큰 상황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국내 소재분야 기업들은 대부분 영세해 R&D 여건이 열악하다”며 “2차 전지 소재의 외국 의존도가 80%를 웃돌다 보니 2차 전지 수출량이 늘수록 소재분야 수입 적자 또한 확대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악순환을 끊기 위해 정부는 앞으로 10년간 2차 전지 분야 석·박사급 인력을 1000명가량 육성하고, 이들 중 일부를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에 파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들 인력은 전문대학원에 2차 전지 학위과정을 추가로 신설해 교육할 예정이다. 정부의 2차 전지 R&D에 참여하려는 대기업들 역시 관련 전문인력 양성 계획을 세워야 한다.

지경부는 “차세대 2차 전지 핵심소재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을 세계 10위권 기업으로 육성하는 게 목표”라며 “기초원천 기술력이 일본의 80% 수준으로 향상되면 본격적인 소재 수출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번 제8차 녹색성장위원회에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발생한 이산화탄소(CO₂)를 포집, 활용하는 ‘국가 이산화탄소 포집·처리(CCS) 종합 추진계획’도 포함됐다. CCS는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저장해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로, 아직은 실험실 단계지만 상용화될 경우 친환경 기술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앞으로 10년간 민간기업과 함께 CCS기술 상용화에 2조30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매출 100조 원과 일자리 10만 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임우선 기자 imsun@donga.com

김규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youtae@donga.com

:: 2차 전지

한 번 쓰고 버리는 1차 전지(일반 전지)와 달리 충전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 초창기에는 휴대전화, 노트북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에 주로 쓰였지만 최근 전기자동차의 등장 등과 맞물리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10년 전만 해도 일본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95%에 육박했지만 삼성과 LG가 이 시장에 뛰어들면서 현재 한국의 점유율은 32%로 높아졌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