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 中서 판가름? 가공무역 구조부터 깨라

  • 입력 2009년 1월 29일 02시 58분


■ 수출시장 가능성과 문제점

中 여건따라 수출기상도 좌우… 완제품 전략으로 전환 필요

한국 기업들이 이르면 4월 중국 전역에 120여 개 매장을 갖고 있는 유통업체 카르푸의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매장에서 대규모 한국 상품전을 연다.

또 국내 중소기업 41개사가 일본 최대 인터넷 쇼핑몰인 ‘라쿠텐’에 이르면 다음 달 입점할 예정이다.

지식경제부는 일본 오프라인 유통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일본의 대형 종합슈퍼체인인 이토요가도와도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무역 관련 공기업, 단체, 민간기업들이 수출을 늘리기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하지만 수출 실적을 올리기 위해 단기적으로 효과적인 지역 전략을 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구조적인 문제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상반기 中日→하반기 중남미·중동

정부는 상반기 한국 수출의 최대 승부처로 중국과 일본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수출 증가율이 전년 동월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는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인접 국가인 중국과 일본 시장에서의 선전이 가장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중국은 한국 수출액의 22% 정도를 차지하는 가장 큰 수출 상대국이다. 대중 수출품의 3분의 2 이상이 원부자재이고, 중국 내수용 소비재 수출은 25% 남짓이다.

정부는 중국 내수용 제품 수출을 30% 이상으로 늘리는 데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2010년까지 4조 위안을 투입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만큼 올해가 중국 내수 시장을 공략하는 데 적기라고 보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올해 무역수지의 성적은 중국과 일본 시장에서 판가름 날 것”이라며 수출을 늘리기 위해 동원 가능한 모든 방법을 다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하반기(7∼12월) 한국 수출의 ‘구세주’로 그동안 우리 수출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했던 중남미와 중동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이 지역은 그동안 원유 등 자원을 팔아 벌어들인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시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 인지도 개선 ‘역샌드위치’ 한계론 극복을

무역협회 산하 국제무역연구원의 최근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수출구조에 대해 “대체로 부품 및 반제품을 중국으로 보내 조립 가공한 뒤 미국 유럽연합 등으로 수출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즉 지난해 4분기(10∼12월) 성장률이 6%대로 내려앉은 중국의 수출 여건에 따라 한국의 대중 수출의 기상도가 좌우된다는 것이다.

연구원의 이봉걸 수석연구원은 “국제 경제 환경에 좌우되는 ‘가공무역’에 기대지 말고 일본처럼 완제품 수출 전략에 힘을 쏟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불황일수록 가격 대비 품질이 우수한 한국산 제품이 값싼 중국산이나 고가 선진국 제품들보다 경쟁력이 있다는 ‘역샌드위치’ 이론의 한계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KOTRA가 최근 발표한 ‘국가 브랜드 현황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별 현지 바이어들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 결과 한국의 국가 이미지는 북미 중남미 유럽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중동 아프리카 중국 일본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KOTRA 국가 브랜드 관리본부 이창현 관리관은 “특히 중동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한국 이미지 제고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수출을 늘리기 위한 관련 계획들은 넘쳐나지만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미비하다는 지적도 있다.

KOTRA가 지난해 말 방산 물자 수출 성장 여건에 대해 작성한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이스라엘 영국 등과 달리 국내 방산 수출 관련 지원 전담 기구 자체가 존재하지 않아 관련 지원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KOTRA는 갈수록 어려워지는 수출 환경을 뚫기 위한 집중 공략대상으로 △경기 진작을 위해 ‘돈 쓰는’ 주요국 정부 △비용 대비 가치 중심의 해외 소비자 △경비 절감 위해 해외 아웃소싱 확대하는 글로벌 기업 △‘친환경’ 코드 상품 등을 제시했다.

이희범 무역협회 회장은 “중국은 현재 발표된 경기부양책(4조 위안) 규모를 필요하다면 더 확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면서 “설령 중국 정부의 SOC 사업에 직접 뛰어들지 못하더라도 관련 기자재라도 판매할 수 있을 것 아니냐”고 말했다.

김정안 기자 credo@donga.com

박형준 기자 loves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