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포석 人事의 세계]기업⑨-外企CEO

  • 입력 2003년 8월 17일 18시 36분


코멘트
6개월여에 걸친 본사의 철저한 자격심사를 거쳐 한국유니시스 최고경영자(CEO)가 된 강세호 사장(가운데). -동아일보 자료사진
6개월여에 걸친 본사의 철저한 자격심사를 거쳐 한국유니시스 최고경영자(CEO)가 된 강세호 사장(가운데). -동아일보 자료사진
“기술고시 패스하기보다 어렵고, 공학박사 따기보다 힘들었습니다.”

한국유니시스의 강세호(姜世昊·47) 사장은 주한 외국기업의 치밀한 최고경영자(CEO) 선발 과정에 혀를 내둘렀다. 2000∼2002년 삼성유니텔(현 삼성네트웍스) 사장을 거쳐 올 4월 정보기술 서비스 업체인 한국유니시스 대표가 된 그는 한국기업과 외국기업의 CEO 선발 방식의 차이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본사 및 지역본부 경영진과 무려 25번 인터뷰를 했습니다. 저의 장단점을 알아내기 위해 인터뷰 담당자당 사흘씩 저를 붙잡고 질문을 해대더군요. 오너를 포함한 최고위급 경영진이 2, 3번 인터뷰하는 데 그치는 국내 CEO 선발 과정과는 근본적으로 달랐습니다.”

인터뷰에서 끝나는 게 아니다. 일단 CEO 자격을 갖췄다고 판단되면 그때부터 길고 긴 자질검증(레퍼런스 체크)과 연봉협상이 시작된다. 강 사장은 “외국기업 CEO 후보가 되는 순간부터 평균 6개월은 집중평가의 대상이 된다”고 말했다.

▽‘CEO 시장’의 형성=외환위기를 전후해 국내에서도 CEO시장이 형성됐다. 외국기업 덕분이다. 국내에 헤드헌팅 업체들이 설립된 것도 이즈음. 그전까지 한국기업에는 외부 CEO를 영입하는 경우가 드물었으며, 있다 해도 이른바 ‘낙하산’ 아니면 명망가 위주였다. 능력과 실적으로 무장한 전문경영인이 정교하게 평가받는 CEO시장이 없었던 것.

외국기업은 원래 외부에서 CEO를 영입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특히 국내에 진출한 외국기업은 더욱 그런 경향을 보인다. 내부 선발을 하다 보면 한국의 독특한 ‘사내 정치’가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 때문.

지난해 5월 인터넷 경매기업 옥션의 최고책임자가 된 이재현(李在現·39) 사장도 CEO시장에서 선발된 사례. 2001년 옥션 지분 약 51%를 인수하며 대주주가 된 미국 e베이는 CEO의 3개 조건을 제시했다. △컨설팅 분야 출신 △명문 아이비리그 경영대 출신 △한국기업 사장 경험이 있을 것 등. 미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출신으로 보스턴컨설팅그룹 서울사무소에서 10년 넘게 근무했고 두루넷 사장 등을 거친 이 사장이 낙점됐다.

▽단기 목표형 CEO 선호=외국기업이 CEO를 결정할 때 가장 중시하는 판단 기준은 수익창출 능력이다. 옥션의 이 사장도 ‘수익을 내라’는 것이 임명 당시 맥 휘트먼 미 본사 사장의 특명이었다고 회고했다.

외국기업은 3년 이내의 단기 목표에 적합한 경영자를 선호한다. 비전 인화 인재육성 등 국내기업에서 CEO의 조건으로 자주 거론되는 자질과는 거리가 있다. 헤드헌팅 전문업체 IBK컨설팅이 CEO 100명의 재직기간을 비교한 결과 외국기업은 1∼3년이 42%로 가장 많은 반면 한국기업은 3∼5년이 39%로 가장 많았다. 본사로부터 매분기별 실적평가를 받는 외국기업 CEO들은 2분기 연속 수익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해고 가능성에 직면한다는 것이 정설.

실적이 너무 좋아 해고되는 사례도 있다. 3년 전 한국에 지사를 설립한 P기업의 S 초대 지사장은 최근 본사로부터 해고통보를 받고 어안이 벙벙했다. 그는 설립 첫해 매출 100%를 달성했고, 이듬해에는 무려 250%를 초과 달성했던 것. 그러나 ‘매출이 커진 만큼 차기 성장목표에 맞는 CEO가 필요하다’는 본사의 논리에 부닥쳐야 했다. IBK컨설팅의 김한석 사장은 “외국기업인들 사이에는 ‘더도 덜도 말고 관리할 수 있을 만큼만 키워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CEO와 한국인 CEO=외국기업 중엔 외국인을 CEO로 파견하는 기업과 한국인 CEO를 쓰는 기업이 있다. 본사의 기업문화를 공유하는 관리 및 마케팅 위주의 회사라면 외국인 CEO가 유리하다. 반면 외국인들이 흔히 ‘채널’이라고 부르는 국내 영업인맥을 활용해야 하는 업종이라면 한국인이 CEO를 맡는다. 한국휴렛팩커드(최준근), 한국오라클(윤문석), 야후코리아(이승일) 등 영업 중심의 외국기업에는 거의 한국인 CEO가 포진해 있다. 반면 까르푸(필리프 브로야니고),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이보 마울) 등 조직관리와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한 기업은 본국에서 파견된 외국인 CEO가 대부분이다.

외국기업 CEO들은 한국기업 경영자가 왕이라면 자신들은 조정자라고 말한다. 한국기업에서 사장이 바뀌면 비서는 물론 운전사까지 바뀔 정도로 권한이 막강하지만, 지사 직원이 지사 사장과 본사 담당자에게 동시에 업무를 보고하는 외국기업의 ‘매트릭스 시스템’에서는 본사와 지사를 이어주는 ‘다리’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기 때문이다.

주한 외국기업 CEO와 한국기업 CEO 비교

주한 외국기업한국기업
평균 재직기간1∼3년3∼5년
주요 선발 조건수익창출 능력수익창출+경영비전, 인화, 인재육성 능력
주요 선발 방식CEO시장(헤드헌팅업체 통한 외부영입)내부 발탁
권한 정도제한적(본사와의 매트릭스 시스템 운영)막강
자료:헤드헌팅업계

정미경기자 micke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