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신뢰경영]<13>지역사회에 베풀면 더 많이 돌아온다

  • 입력 2003년 2월 17일 17시 34분


코멘트
이달 초부터 연수에 들어간 현대중공업 신입사원들은 울산 본사 부근의 염포산 일대 11.6㎞ 달리기 대회를 벌였다. 또 울산 지역의 장애인시설을 방문해 1박2일 동안 불우이웃들의 생활을 돕는 봉사활동도 펼쳤다. 이들 프로그램은 연수코스의 하나인 ‘지역사회 알기’에 포함된 것들이었다. 포스코 신입사원도 포항 지역사회 봉사체험활동에 참여하면서 지역 바로 알기에 열심이다.

이처럼 국내 기업들의 신입사원 연수프로그램에는 봉사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체험’ 과정이 거의 필수항목처럼 돼 있다.

중견기업인 한국도자기는 지역봉사 활동을 통해 효도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지역 노인정과 자매결연을 해 후원금을 전달하고 정기적으로 방문한다. 사원들은 동호회를 결성해 독거노인들을 돕고 있다. 회사측은 “지역사회와의 화합은 가족 같은 직장 분위기나 안정적인 노사관계 조성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연재물 목록▼

- <12>끊임없는 혁신으로 기업가치 높여라
- <11>발주-협력업체 서로 도와야 산다
- <10>비전-수익을 직원들과 나눠라
- <9>고객의 불평에 귀 귀울여라
- <8>'리스크관리'로 재무부실 미리 막아라
- <7>협력업체와도 공정하게 주고 받아라
- <6> '정경유착'벗고 당당하게 홀로 서라
- <5>법인세, 번만큼 내라
- <4>엄격한 외부 감사로 회계 투명성 ↑
- <3>기업지배구조 개혁 지주회사가 첫단추
- <2>이사회 ‘독립’ 아직은 ‘먼길’
- <1>소액주주 믿음이 기업성장 밑거름

미국 유럽 등에서는 이 같은 지역 밀착형 활동이 결국 회사의 이익으로 돌아온다는 걸 오랜 경험을 통해 배웠다.

미국 시스코 시스템스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이 회사는 지역사회단체와 학교 등에 장비를 무료로 기부했다. 그러나 장비를 제공받은 업체들이 사용 경험이 없어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이는 시스코측에도 추가비용 부담이 됐다.

시스코측은 장비 기부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급시켰다. 시스코 네트워킹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역사회와 학교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시스코 장비에 대한 훈련을 시켰다. 결과적으로 지역 청소년과 주민들 사이에서 시스코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크게 높아졌다.

‘세상을 이롭게 하는 멋진 비즈니스’의 공동저자 스티브 힐튼과 자일스 기번스는 이를 ‘사회마케팅’이라고 이름 붙였다. “기업이 사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면 결과적으로 상업적으로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지역사회 봉사=장기적인 투자’라는 등식은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국내 할인점들의 지역공략 전략에서 특히 잘 나타나고 있다.

신세계 이마트는 고객들이 모아오는 영수증에 대해 보상해주는 금액의 일부를 지역단체에 기부하는 ‘지역단체 마일리지’를 실시하고 있다. 프랑스계 까르푸는 지역의 복지시설에 음식을 제공하고 있다.

외국 시장을 상대로 할 때도 마찬가지다. 기업들은 ‘상품을 팔려면 먼저 그 지역 사람들의 마음을 얻어야 한다’는 사실에 눈을 떴다. SK가 ‘중국판 장학퀴즈’인 ‘좡위안방(壯元榜)’을 후원하고 있는 것이나 삼성전자가 사회봉사단을 통해 미얀마, 방글라데시의 농촌에 학교를 지어주는 건 ‘봉사이자 투자’다.

“주주와 고객은 물론 지역사회에 기여할 때만이 사랑받는 기업이 될 뿐 아니라 그것이 곧 기업의 경쟁력”(코오롱 이웅열 회장)인 것이다.

이명재기자 mj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