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자의 출근?… 판타지가 아니다[정보라의 이 책 환상적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9일 01시 40분


코멘트

사회적 관계에 대한 고찰
‘SF적 사실주의’로 풍자
◇아직 살아 있습니다/나푸름 지음/283쪽·1만5000원·다산책방

정보라 소설가
정보라 소설가
박 대리가 죽었다. 화자는 박 대리의 장례식에도 다녀왔다. 그런데 박 대리는 장례식을 치른 뒤에도 계속 출근한다. 죽기 전에 회사 시스템에서 로그아웃하는 것을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귀신 얘기가 아니다. 이 회사는 직원에게 업무용 로봇을 지급한다. 사무실에 출퇴근하고 실제로 자리에 앉아 컴퓨터를 켜고 자료를 출력하는 활동은 로봇이 한다. 그 로봇을 조종해서 업무를 보는 주체는 원격 근무하는 사람 직원이다. 박 대리는 죽었지만 로그아웃을 안 했기 때문에 박 대리의 로봇은 계속 출근해서 근무한다. 표제작인 단편소설 ‘아직 살아 있습니다’는 읽다 보면 제목의 의미를 여러모로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작품이다. 자본주의 사회의 직장생활을 통렬하게 풍자하는 블랙코미디이기도 하다.

‘아직 살아 있습니다’ 소설집 자체는 공상과학(SF)이나 환상소설이 아니다. 작가는 인간의 물리적 존재와 사회적 관계에 대한 고찰을 전반적인 주제로 삼는다.

단편소설 ‘목요일 사교클럽’은 젊음과 아름다움을 여성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가치라 강요하는 사회를 바라보는 쓸쓸한 이야기다. 주인공인 ‘여자’는 나이 들어 가는 몸을 철저하고 꼼꼼하게 관리하지만 시간과의 싸움에서 인간이 절대 이길 수 없음을 절감한다. 단편소설 ‘로드킬’에서 주인공은 언제나 도덕적이라고 여겼던 아내와의 일상적이고 안정적인 관계가 ‘사건’으로 인해 가장 안쪽부터 천천히 무너지는 경험을 한다. 단편소설 ‘윌슨과 그의 떠다니는 손’에서 윌슨은 산업재해로 왼손을 잃지만 왼손이 여전히 있는 듯한 환상에 시달린다. 그러다 윌슨은 자신의 왼손에 누군가 다른 여성의 몸이 닿는 것을 느끼기 시작한다. 윌슨은 그대로 있는데 잃어버린 왼손만 다른 곳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지내고 있다. 윌슨의 아내는 윌슨의 ‘떠다니는 왼손’이 전달하는 감각을 인정하지 않고, 두 사람의 관계는 서서히 무너진다.

작가의 작품세계에서, 관계가 변화하는 경험들은 드라마틱하지도 격렬하지도 않다. 어떤 사건이 일어나든, 그 배경에 어떤 세계가 있든, 등장인물들의 삶은 그냥저냥 이어진다. 사실적인 단편들도, 환상적이거나 SF적인 설정의 단편들도 마찬가지다. 설정이나 소재와 관계없이, 인간은 어쨌든 음식을 먹고 잠을 자고 어제를 기억하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살아 있는 한 일상은 그냥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등장인물들은 시간 속에서 천천히 조금씩 부서져 간다. 이것이 작품집에서 묘사되는 인간의 가장 근본적으로 사실적인 측면일 것이다.

장르 소설 작가 입장에서 순문학 작품들에 SF적인 소재가 사용되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현실 세계에는 이미 기술과 과학이 깊숙이 침투해 있다. 그러므로 문학에도 ‘SF적 사실주의’가 나타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아직 살아 있습니다’는 인간을 차분히 바라보는 작가의 철학적 시선과 존재의 실존적,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상상력이 교차하는 인상적인 작품집이다.


정보라 소설가



#죽은 자의 출근#사회적 관계#sf적 사실주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