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재단법인 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2년 공연시장 동향 총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공연 티켓 판매액은 약 5590억 원이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의 약 3897억원보다 43% 늘었다. 티켓 판매액은 2021년에 보다 82% 증가했다.
지난 한해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기준 전국, 총 1만4447건의 공연이 무대에 올려졌다. 2021년 대비 36%, 공연 회차는 46% 늘었다.
뮤지컬이 공연시장 확대를 이끌었다. 대형 공연장, 장기 공연회차, 높은 평균 티켓 가격 등의 영향으로 티켓 판매액은 뮤지컬이 전체 공연 시장의 76%(약 4253억원) 비율을 차지했다.
예매 상위권도 대부분 뮤지컬이 차지했다. 티켓예매 순위 상위 20개 작품은 서울과 부산의 500~1000석 이상의 중·대극장 공연에서 1개월 이상 장기간 공연된 ‘엘리자벳’, ‘지킬 앤 하이드’, ‘데스노트’ 등의 라이선스 뮤지컬 13건, ‘태양의 서커스-뉴 알레그리아’, ‘라이언킹’ 등의 내한공연 4건, ‘웃는남자’, ‘서편제’ 등 창작 뮤지컬 3건이었다.
클래식은 지난 한 해 가장 많은 공연을 올린 장르로 무용보다 약 8.4배 많았다. 티켓 판매액은 전체의 12%에 해당하는 약 648억 원 수준이었다. 연극은 뮤지컬(약 738만 명) 다음으로 많은 관객(238만 명)이 관람했지만 클래식보다 적은 약 468억 원이었다. 다음으로는 무용(약 147억 원, 3%), 국악(약 54억 원, 1%) 순으로 나타났다.
올 한 해 공연시장 전망도 밝다. 예술경영지원센터는 “2022년의 성장세와 탄력을 이어간다면 2023년 한국 공연시장은 약 9000억원(대중음악 포함)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2022년 공연시장 동향 총결산 보고서’는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