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이 책, 이 저자]‘정의에 대하여’ 펴낸 이종은 국민대 교수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4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사람들이 사람답게 사는 나라… 사회정의는 결국 조화의 문제”

이종은 국민대 교수는 “개인적 차원의 복수를 의미하던 정의가 사회적 차원의 정의로 변천하는 사상사 측면을 세밀히 다뤄 정의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넓히고 싶었다”고 말했다. 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이종은 국민대 교수는 “개인적 차원의 복수를 의미하던 정의가 사회적 차원의 정의로 변천하는 사상사 측면을 세밀히 다뤄 정의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넓히고 싶었다”고 말했다. 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또 정의야?” ‘정의에 대하여’(책세상)를 집어 들며 든 생각이었다. 2010년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베스트셀러가 된 후 정의와 관련된 국내외 서적이 쏟아졌다. 바람이 잠잠해진 2014년 4월에 다시 정의를 주제로 800쪽에 달하는 책을 내다니…. 저자인 이종은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63)가 궁금했다. 9일 오후 서울 성북구 정릉로 국민대에서 이 교수를 만났다.

―정의 열풍이 한풀 꺾였다. 늦은 감이 있다.

“2010년 ‘정치와 윤리’, 2011년 ‘평등 자유 권리’에 대해 책을 썼다. 정의를 알기 위해 3층짜리 건물을 하나씩 쌓아간다는 마음으로 저술한 것이다. 이제 3층인 ‘정의에 대하여’가 나온 것뿐이다.

―정의를 다룬 다른 책과의 차별점은…

“표지 그림을 보자. 한 남자가 사람을 죽이고 도망간다. 뒤에는 천사 2명이 있다. 하나는 ‘정의의 신’이고 또 다른 하나는 ‘복수의 신’이다. 그림엔 정의(正義)를 한 가지로 ‘정의(定義)’하지 말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 소크라테스부터 시작된 고대의 정의는 복수의 개념이었다. 당한 만큼 보복하자는 것이다. 고대의 정의는 개인과 개인의 문제였다. 하지만 사회와 개인, 사회와 사회의 문제가 생기면서 사회정의가 중요하게 됐다. 핵심은 정의의 관점은 시대와 장소, 사람에 따라 계속 바뀌었다는 점이다.”

―책에선 결국 사회정의를 강조하고 있다.

“정의는 시대, 장소,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지금 시대는 사회정의가 절실하다. 거리에 탑을 세운다고 치자. 인부 100명이 하루 동안 탑을 세웠다. 일당 10만 원씩 100명에게 1000만 원 주면 끝이다. 하지만 노동자 한 사람이 10만 원씩 100일 주면 탑을 세울 수 있나? 불가능하다. 개개인에게는 일당 10만 원이 주어졌지만 100명이 협동한 노력에 대한 것은 지불되지 않았다. 즉 과거와 달리 요즘은 모두의 협업으로 유지되는 사회인 만큼 누군가 소외되거나 굶어죽으면 안 된다고 보는 것, 많은 사람에게 골고루 혜택이 가는 것이 사회정의다.”

―우리 사회에서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3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는 권리다. 절대왕정 시절엔 시민들에게 권리가 없었다. 프랑스혁명 이후에야 투표할 권리가 생겼다. 즉 정치적 권리가 생긴 것이다. 당시에는 이것만 평등하게 보장되면 정의가 이뤄질 것으로 봤다. 하지만 그럼에도 가난한 사람은 늘 가난했다. 그래서 사회, 문화, 경제적 권리가 정의라는 생각이 강해졌다.”

―다른 두 가지는….

“응분과 필요다. 응분은 열심히 하면 좋은 성과를 받게 된다는 것이다. 사회적 약자의 경우 노력과 성과가 부족하니 ‘응분’이 필요 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필요’란 측면에서 이들을 도와야 한다. 물론 너무 필요를 충족시켜 주면, 사회의 효율이 떨어지고 사회 체제가 무너진다. 결국 오늘날의 정의는 ‘조화’의 문제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정의에 대하여#이종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