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양반 ‘주거문화 백서’…‘사의당지’ 번역본 나와

  • 입력 2009년 8월 7일 02시 59분


“사의당(四宜堂)은 으슥하여 산림과 강호에 물러나 사는 멋이 있고, 또 탁 트여 도시와 교외를 함께 바라보는 전망이 있다.”

사의당은 조선 인조가 고모인 정명공주에게 하사한 저택으로 당대 대표 건축물로 손꼽혔지만 지금은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다. 하지만 조선 후기의 문인 홍경모(1774∼1851)가 1824년 사의당의 역사, 구조, 조경, 실내장식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의당지’에서 조선 가옥과 양반가의 주거 문화를 세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최근 사의당지를 번역한 ‘사의당지, 우리 집을 말한다’(휴머니스트)가 나왔다. 총 8장 중 집의 구조를 설명한 ‘당우제이(堂宇第二)’에서 저자는 “정당(본채)의 제도(구성)는 7개의 기둥과 20칸 반이다”라며 각 건물의 배치부터 기둥 수까지 기록했다. 숙신씨(肅愼氏·고조선 시기의 중국 이민족)의 돌도끼와 돌화살촉, 서양의 자명종, 일본에서 들여온 종려나무와 왜철쭉 등 집안 대대로 수집해온 각종 골동품과 외국 물건에 대한 기록도 나온다. “트인 마루가 온돌방보다 배가 되는 것은 옛 제도인데, 이제 모두 이와 반대로 하였으니 지금에 맞게 했다”는 구절에서는 조선 후기 주거지에서 마루보다 온돌의 비중이 더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사의당지’를 번역한 이종묵 서울대 국문과 교수는 “특정 가옥에 대해 이 정도로 상세하게 묘사한 기록은 찾아보기 힘들다”면서 “‘사의당지’는 조선 후기 서울 선비들의 주거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이새샘 기자 iams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