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히 간직될 음악 할 겁니다”… ‘솔타운’

  • 입력 2007년 3월 14일 03시 09분


코멘트
1990년대 흑인음악을 주도했던 ‘솔리드’와 ‘업타운’의 프로젝트 그룹 ‘솔타운’. 왼쪽부터 스티브, 정연준(이상 업타운), 이준, 정재윤(이상 솔리드). 사진 제공 몹엔터테인먼트
1990년대 흑인음악을 주도했던 ‘솔리드’와 ‘업타운’의 프로젝트 그룹 ‘솔타운’. 왼쪽부터 스티브, 정연준(이상 업타운), 이준, 정재윤(이상 솔리드). 사진 제공 몹엔터테인먼트
10여 년 전 ‘흑인 음악의 대중화’를 내세웠던 ‘솔리드’의 정재윤과 이준, ‘업타운’의 정연준과 스티브(본명 김상욱)가 2007년 새 프로젝트 ‘솔타운’으로 돌아왔다.

한국 대중음악의 부흥기였던 1990년대 감성의 재현과 10년 전 해체된 솔리드 부활의 상징인 솔타운은 이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이달 말 디지털 싱글 ‘마이 레이디’ 발매를 앞두고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뮤직비디오를 촬영 중인 이들을 e메일로 만났다.

“1997년 팀 해체 이후 미국에서 학교를 졸업했고 이후 사업을 했어요. 레스토랑도 운영했고 지금은 부동산 사업을 하고 있죠. 옛 솔리드 팬들이 궁금했는데 이번이 좋은 기회입니다.”(이준)

“그룹 ‘F4’, 코코리 등 중화권 가수들의 프로듀싱을 맡아 왔고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하고 있죠. 솔리드 시절 생각이 많이 났어요.”(정재윤)

솔리드의 옛 멤버는 3명. 이 중 김조한은 현재 국내에서 솔로로 활동하고 있고 두 사람은 미국에서 사업을 하고 있지만 음악계를 떠나진 않았다. 이준은 2001년 김진표, 2004년 이현도의 음반에 객원 래퍼로 참여했고 정재윤은 프로듀서로 활동해 왔다.

이들을 다시 가요계로 끌어 온 이는 업타운의 정연준이었다. 지난해 컴백 앨범을 발표한 업타운은 1년 반 전부터 이들과 함께 작업하자고 매달렸다.

“예전부터 입버릇처럼 ‘솔리드가 다시 나와야 되는 거 아니냐’라고 말했어요. 결국 두 사람에게 내가 만든 노래 ‘마이 레이디’를 들려주고 승낙을 받았죠. 팀 이름도 솔리드의 ‘솔’과 업타운의 ‘타운’을 땄습니다. 김조한 씨가 영화음악과 솔로음반 준비로 참여하지 못해 아쉬워요.”(정연준)

솔리드는 1993년 데뷔해 2년 뒤 두 번째 음반 ‘이 밤의 끝을 잡고’로 인기 그룹 반열에 올랐다. 1997년 해체 전까지 4장의 음반을 발표하며 ‘나만의 친구’ ‘천생연분’ 등을 히트시켰다. 업타운은 이들의 뒤를 이어 등장했다. 좀 더 강한 비트로 미국적 힙합을 추구했던 이들은 “당시에는 친숙하지 않은 흑인 음악의 대중화를 외쳤는데 지금에야 이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마이 레이디’는 이준과 스티브 두 래퍼와 정재윤 정연준 두 보컬이 한 여자를 두고 다투는 내용을 담은 정통 리듬앤드블루스곡이다. 이들의 복귀는 가요계에 새로운 충격을 줄 수 있을까.

“요즘과 달리 1990년대에는 자기만의 색깔을 가진 가수가 많았죠. 노래 하나가 오랫동안 사람들의 가슴에 남았는데 지금은 음악이 ‘소비’될 뿐 ‘간직’되진 않아요. 결국 음악성이 답인 것 같아요. 솜사탕 같은 금방 사라질 음악이 아닌 완성도 있는 음악을 해야 선배답지 않을까요?”(정연준)

정재윤과 이준은 ‘컴백’이라는 말도 좀처럼 쓰지 않았다. 보컬 김조한과 함께 진정한 컴백을 할 그날을 위해 아끼는 눈치지만 세 멤버가 무대에 다시 설 날은 얼마 남지 않아 보인다. 이들은 “숫자로는 우리가 구세대일지 모르지만 늘 새로운 음악을 찾고 있으니 ‘뮤지션’으로서는 절대 구세대 아니다”라고 말한다.

김범석 기자 bsis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