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흐르는 한자]割 股 療 親(할고요친)

  • 입력 2001년 11월 20일 18시 37분


割 股 療 親(할고요친)

割-벨 할股-다리 고 療-치료할 료 譚-이야기 담染-물들일 염 旌-표할 정

부모를 모시는 데 孝(효)가 지극한 나머지 자신의 넓적다리를 베어 奉養(봉양)했던 예는 우리의 민담(民譚)에도 많이 소개되어 있다. 이른바 ‘割股療親’ 또는 ‘割股養親’(할고양친)이 그것이다. 줄여서 ‘割股’(할고) 라고도 한다.

新羅(신라) 때 尙德(상덕)이라는 자가 있었다. 凶年(흉년)이 든 데다 染病(염병)까지 돌아 살기가 여간 어렵지 않았다. 부모님마저 굶주리고 병들어 다 죽게 되자 尙德은 밤낮 衣冠(의관)을 풀지 않은 채 정성을 다해 奉養했다. 하지만 마땅하게 먹을 것이 없자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국을 끓여 들이고 어머니가 종기가 나자 직접 빨아 낫게 해 드렸다.

그의 孝誠(효성)은 왕의 귀에까지 들리게 되었고 자초지종을 들은 왕은 크게 감동한 나머지 후하게 상을 내리는 한편 집에 정문(旌門)을 세우고 비석(碑石)을 세워 후세에 널리 알리도록 했다.

물론 중국에서도 割股療親이 성행했다. 본디 옛날 중국사람들은 人肉, 즉 사람고기도 즐겨 먹었다. 다만 사람이 사람고기를 먹는다는 것이 마음에 걸렸든지 人肉이라 하지 않고 想肉(상육)이라고 불렀을 뿐이다.

중국에서 想肉을 먹은 역사는 꽤 오래다. 春秋五覇(춘추오패)로 유명한 齊(제)의 桓公(환공)은 美食家(미식가)로 유명했다. 주방장 이아(易牙)에게 특별한 요리를 부탁하자 그는 자기의 아들을 삶아 바쳤다. 물론 食道樂(식도락)의 極端的(극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부모님을 위해 치료목적으로 割股했던 예는 그 뒤의 일이다. 人肉에 관한 俗說(속설)이 퍼지면서부터였다.

人肉의 效驗에 대해 최초로 언급한 이는 唐의 名醫 陳藏器(진장기)였다. 그는 本草拾遺(본초습유)에서 人肉이 宿患(숙환)에 지친 환자의 기력을 회복시키는 데 特效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의 발표 이후 宋의 莊綽(장작)이나 元의 陶宗儀(도종의)는 想肉의 요리법까지 제시하였으며 明의 李時珍(이시진)은 더 나아가 本草綱目(본초강목)에서 인체 각 부위의 藥效까지 설명하고 있다.

인륜을 강조했던 송나라가 孝子를 관리로 특채하자 웃지 못할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젊은이들 간에 孝子가 되기 위해(?) 血眼이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부모의 묘에 가서 초막을 지어놓고 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대담한 젊은이는 공연히 자신의 허벅지를 도려내기도 했다. 모든 것이 마음의 문제가 아닐까. 요즘은 割股는 고사하고 悖倫(패륜)이 자행되고 있다.

鄭 錫 元(한양대 안산캠퍼스 교수·중국문화)sw478@yahoo.co.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