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굴암서 영감받은 ‘14사도화’… 명동대성당 聖미술품 아시나요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가톨릭 미술 도슨트’ 주 2회 운영
유리화-청동문 등 20여점 감상

서울 명동대성당 중앙제대 뒷면을 감싸고 있는 ‘14사도화’.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공
서울 명동대성당 중앙제대 뒷면을 감싸고 있는 ‘14사도화’.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공
서울 명동대성당 안에 유럽 성당 못지않은 성(聖) 미술이 즐비하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16일부터 11월 11일까지 성당 내 미술품을 설명해 주는 ‘명동대성당 가톨릭 미술 이야기 도슨트 프로그램’ 하반기 투어(매주 수, 토요일)가 운영된다. 도슨트 투어는 2019년 봄 시작됐지만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재개됐다. 명동대성당의 미술품을 살펴봤다.

성당 전면 중앙제대 뒷면을 감싸고 있는 ‘14사도화’는 한국 교회 미술 개척자이자 서울대 미대 학장을 지낸 화가 장발(1901∼2001)이 1926년 완성한 작품이다. 예수님의 열두 제자 외에 초기 교회 기틀을 놓은 바오로와 바르나바를 포함한 것으로, 얼굴을 그릴 때 당시 활동하던 주교와 사제를 모델로 삼았다. 장발은 경주 석굴암을 방문했을 때 석가모니 둘레의 10대 제자상 입상 부조를 보고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스테인드글라스(유리화)는 19세기 프랑스 툴루즈의 대표적인 스테인드글라스 제작사인 제스타 공방 작품으로 1898년 설치됐다. 성당 정면 제대 뒤편의 ‘로사리오 15단’ 유리화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묵상하는 가톨릭교회의 묵주기도 각 단을 주제로 묘사했다. 트랜셉트(십자가형 교회의 좌우 날개 부분) 좌우의 작품은 각각 ‘예수와 열두 사도’, ‘아기 예수 탄생과 동방박사 경배’를 표현했다.

성당의 청동문은 세상과 거룩한 곳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명동대성당 정면의 3개의 문 가운데 중앙문은 최의순 작가가 1987년에 완성한 것으로, 초기 한국 교회의 중요한 사건을 저부조(低浮彫·얕게 만든 부조)로 표현했다. 맨 위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미사를 집전한 중국인 주문모 신부와 우리말 교리서(주교요지)를 편찬한 명도회 정약종 회장을 묘사했다.

명동대성당 북측 사제관 앞 정원엔 장동호 조각가가 1994년 제작한 예수님 두상 ‘예수 사형선고 받으심’이 있다. 사형선고를 받던 당시 고통스러운 예수님의 모습을 잘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슨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이 밖에도 ‘79위 복자화(유채)’ ‘요한 바오로2세 교황(부조)’ ‘명례방 천주교 집회도’ 등 20여 점의 성 미술을 볼 수 있다. 신청 및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홈페이지 참조.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명동대성당#聖미술품#14사도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