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층 수명 저소득층보다 4.6년 길다…건강불평등 ‘여전’

  • 뉴시스
  • 입력 2019년 1월 4일 16시 02분


코멘트
저소득층은 고소득층보다 기대수명이 4.6년 가량 짧았으며 건강하게 사는 기간도 3.5년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발간한 ‘건강불평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소득 하위(의료급여자+건강보험료 1~2분위) 기대여명은 80.64년으로 소득 상위(건강보험료 9~10분위) 85.20년보다 4.56년 짧았다. 2013년 한국에서 태어난 0세 저소득 아동은 또래 고소득 아동보다 수명이 4.56년 짧다는 얘기다.

2010년 4.98년에서 2011년 5.72년, 2012년 5.73년 등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던 수명 격차는 3년 만에 5년 밑으로 떨어졌으나 여전히 건강불평등은 존재했다.

성별로 소득수준별 기대여명 격차를 보면 2013년 기준 남성이 7.39년으로 여성(2.49년)보다 폭이 컸다.

기대여명 가운데 건강하게 삶을 유지한 기간인 건강수명에서도 소득불평등이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5점 척도로 물은 결과를 토대로 연령별 인구수와 사망자수, 생존자, 정지인구 등 변수를 적용한 결과 소득 하위 그룹은 2013년 건강수명이 65.51년으로 상위 그룹 69.02년보다 3.51년 짧았다.

그나마 2012년 64.22년이었던 하위 그룹의 건강수명이 2013년 상승한 반면, 상위 그룹에선 같은 기간 68.63년에서 줄어들어 격차가 좁아진 결과다.

남성은 건강수명 격차가 2011년 5.77년에서 2012년 5.83년으로 증가했다가 2013년 5.06년으로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여성은 지속해서 감소 추세(3.78년→3.39년→2.34년)를 보였다.

국민들은 이런 건강불평등의 중요성과 영향력에 대해선 느끼고 있었지만 7명 중 1명만이 인지하고 있었다.

2017년 11월 전국 만 19세 이상 70세 미만 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절반에 가까운 45.6%가 ‘건강불평등(건강형평성)에 대해 들어본 적은 있으나 잘 모른다’고 답했다. ‘전혀 알고 있지 않다’고 한 응답자도 39.2%나 됐으며 ‘잘 알고 있다’는 국민은 15.1%에 그쳤다.

반면 78.4%는 건강불평등이 ‘중요하다(매우 그렇다+그런 편이다)’고 답했으며 이와 비슷한 77.1%의 국민은 ‘건강불평등이 국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매우 그렇다+그런 편이다)’고 생각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현재 추진 중인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는 건강형평성 지표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았다”며 “건강격차 해소를 위해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지표를 단순히 검토하고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번 건강불평등 조사도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중점과제의 효과성 평가’(정영호 등) 정책보고서를 활용한 것이다.

일본은 건강수명(일상생활에 제한이 없는 기간의 평균)에 대한 지역사회 격차 축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은 인종별, 성별, 사회 경제적 특성별, 장애 여부별, 성적소수자별, 지역별 인구집단 건강격차 및 불평등을 관리하고 있다.

이에 건강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선 ▲다차원 건강결정요인을 고려한 건강형평성 지표 산출 ▲지표선정 및 관리 기반 구축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 등 건강격차 해소 거버넌스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개발원은 조언했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