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남과 여②] 버튼 몇 번이면 자각몽 뿅…SF 맞아?

  • 스포츠동아
  • 입력 2017년 2월 23일 06시 57분


영화 ‘루시드 드림’. 사진제공|로드픽쳐스
영화 ‘루시드 드림’. 사진제공|로드픽쳐스
블랙과 화이트, 짜장면과 짬뽕…. 그리고 남(男)과 여(女), 혹은 여와 남. ‘개취’(개인취향)일 뿐인 각기 시선에 성적(젠더·gender) 기준과 잣대를 들이댈 이유는 전혀 없다. 생물학적으로 다른 존재들일지언정, 세상과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은 각자의 취향대로다. 두 남녀기자가 매주 각자의 눈으로 세상을 들여다보기로 했다. 적어도 눈치 보는, ‘빨아주기’식 기사는 없다. 엔터테인먼트 각 분야 담당기자들이 ‘갈 데까지 가보자’고 작심했다. 가장 공정하고 정정당당한 시선을 유지하자며.

■ 영화 ‘루시드 드림’

● 22일 개봉·15세 관람가·101분
● 주연: 고수·설경구
● 감독: 김준성

● 줄거리

대기업 비리 고발 전문 기자 대호(고수)는 3년 전 계획적으로 납치된 아들을 찾고 있다. 그러다 발견한 프로그램 루시드 드림. 꿈을 꾸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한 상태에서 꿈의 세계로 진입하는 ‘자각몽’으로 범인을 추적해 나간다. 그런 대호를 친구인 정신과 의사(강혜정)와 베테랑 형사 방섭(설경구)이 돕는다. 마침내 대호는 모든 단서가 지목하는 한 남자를 꿈에서 만난다.


● 이건 아니야

장점부터 얘기해보자. 일단 시도가 새롭다. 자신의 꿈을 통해 숨어있던 기억을 되살리고 이를 토대로 아들을 잃어버린 순간으로 되돌어갈 수 있다니. 실제 루시드 드림이 가능하다면 미제 사건도 능히 해결할 수 있을 텐데. 영화는 그렇게 희망을 향한 판타지를 자극한다.

현실과 꿈의 교차를 통해 시도하는 장르적인 차별화 역시 나름 신선하다. SF스릴러라는 낯선 장르를 꺼낸 감독은 꿈속에서 만큼은 시간과 공간을 입체적으로 설계했다. 1984년생으로 장편영화 연출에 나선 신인감독의 패기와 도전은 응원 받아 마땅하다. 방섭 역의 설경구마저도 시사회 직후 “‘신인감독을 도와달라는 말로, 이 영화를 정리하고 싶다”고 했을 정도이니까.

그러나 여기까지다. 과학을 근거삼은 SF장르인데도 이 영화는 모든 게 참 쉽다. 루시드 드림, 즉 자각몽에 접근하는 방법도, 꿈속에서 단서를 찾아 범인을 좁혀가는 과정도 버튼 몇 번이면 끝!

심지어 주인공 대호를 돕는 의사 친구 소현은 직업적 윤리 따윈 잊은 모습이다. 환자 정보를 한 치 망설임 없이 제공하고 환자의 납치까지 방조한다. 오랜만에 스크린에 나선 강혜정을 그저 수동적 캐릭터의 전형으로 그려낸 사실은 끝끝내 사라지지 않는 아쉬움이다.

영화는 꿈의 세계를 다룬다는 이유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인셉션’과 줄곧 비교되곤 한다. 2010년 국내에서만 582만명을 모았고, 수십 번 반복 관람한 마니아 팬이 모여 ‘팬덤’까지 형성하게 한 바로 그 영화다.

제작진인들 비교대상으로 거론되는 게 좋을 리 없다. 영화 설정의 유사성 역시 창작의 세계에서 ‘피할 수 없는 일’로 너그럽게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마저 비슷하면 얘기는 달라진다. 영화의 하이라이트이자, 꿈의 세계가 파괴되는 그 결정적 장면이 ‘인셉션’을 모티프 삼았다는 사실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의도하지 않았다 해도, 비교의 시선이 억울하다 해도, 그렇게 보이는 걸 어떡하나.

■ 평점아이콘, 이렇게 갑니다

● 히트다 히트
말이 필요할까요. 눈과 귀가 즐겁습니다.

● 알쏭달쏭
지금은 모르겠어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 이건 아니야
시간과 돈이 아까울 수 있습니다.

이해리 기자 gofl1024@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