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읽는 동아일보]한국의 조급성 비판한 노벨상 기사에 공감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10월 8일자 A4면.
10월 8일자 A4면.
해마다 10월이면 온 나라를 들썩이게 하는 소식이 바로 노벨상 수상자 관련 보도이다. 동아일보도 6일자 A2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필두로, 12일자 A31면 염한웅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의 ‘한국인 노벨과학상, 20년 내 가망 없다’라는 ‘시론’까지 연속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분야별 노벨상 수상자 소식을 전할 때마다 그들의 학문적 성과와 그 업적이 왜 훌륭한지를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했다. 매우 교훈적이고 유익했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8일자 A4면과 A5면 등 2개면에 걸친 ‘노벨상 일본의 교훈-조급증 한국’이라는 심층 분석 비교 기사는 한국에서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나오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점을 파헤쳤다.

‘정부는 늘 당장 눈앞의 성과를 원하고, 연구자들은 연구 자체보다 연구지원금 받는 것이 목적’이란 지적에 크게 공감이 된다. 막대한 예산을 꾸준히 쏟으면서도 서두르지 않고 지긋이 기다려온 일본의 ‘기다림’에 반해 창의적 연구보다 안정적 연구성과에 연연하는 한국의 ‘조급성’과 ‘틀 맞춤’ 방식의 구조적 문제점은 비단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의 자화상이 아닌지 되돌아보게 한다.

제해치 부산 금정구
국정교과서 논란 해결 방안 신선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국사 교과서 검정-국정 모두 許하라’(5일자 A30면) 칼럼을 꼼꼼히 읽었다. 국사 교과서 국정-검정 갈등은 교육이 아니라 정치 문제라는 핵심을 잘 지적하고 국정과 검정 공존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시도한 점이 신선했다. 하지만 정부는 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국민도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 국사 교과서를 바꾼다면 반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정치 문제 때문에 국사 교과서를 바꾼다면 현 정권의 입맛에 맞게 고칠 것이라는 의심을 살 수 있다. 정부와 여당은 검정 교과서를 국정으로 바꾸려는 이유를 설명하고 반대하는 국민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갈등만 조장할 수 있다.

김혜진 인천 연수구
시간선택제 성공사례 보도 흥미로워

‘편한 시간 택해 일하니 업무에 더 집중…생산성도 쑥쑥’(12일자 A8면) 기사가 흥미로웠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기업의 근로자들은 효율적인 근무에 만족도가 높다. 퇴사율도 낮아지고 회사 충성도도 높아졌다고 한다. 이제 우리 사회도 ‘소수가 장시간 일하는 노동문화’에서 ‘다수가 효율적으로 일하는 노동문화’로 전환해야 되는 시점이 된 것이다.

이젠 일자리를 더불어 나누어 갖는 개념으로 바꾸어야 할 때다. 그래야 늘어나고 있는 청년실업률도 낮아질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시간선택제 일자리와 단순 아르바이트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시간선택제 근무자와 전일근무자 간의 갈등 소지도 해결해야 한다.

이현주 경기 부천시
외국인 고용허가제 성과 반가워

11년째를 맞은 외국인 고용허가제로 인해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외국인 고용허가제 11년…中企 인력난 해소에 큰 기여’(12일자 A12면) 기사는 외국인 근로자의 현 상황이나 제도의 필요성을 정확히 알려줬다. 많은 기업이 직원 부족으로 경영이 어려워지는 악순환에서 벗어나 정상화했다니 반가운 소식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내국인 인력이 푸대접을 받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옳다고 생각한다. 국내 은퇴자들을 체계적으로 훈련시키면 인력난도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다. 기사에서 지적한 것처럼 앞으로 외국인 숙련기능 인력을 유입시키는 것과 동시에 내국인 노동시장 보호 노력이 균형감을 갖고 이뤄져야 할 것이다.

설희자 경기 성남시 분당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