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도… 고시원도… ‘가로막힌 안전’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경기 의정부 아파트 화재 이후 화재에 취약한 도심 속 건물들의 점검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인 의정부 아파트는 하나뿐인 탈출구와 스프링클러 미설치 등 허술한 소방안전 관리 체계가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보 취재팀이 12일 학생들이 많이 몰리는 학원과 1인 가구가 많은 고시촌 일대의 화재 대비 상태를 점검한 결과 곳곳에서 허점이 발견됐다.

○ 탈출 불가능한 비상계단

취재팀이 학원 밀집 지역인 서울 강남구 대치동과 관악구 신림동 학원 15곳을 확인한 결과 이 중 7곳은 외부로 연결된 계단이 하나뿐이었다. 참사를 빚은 의정부 아파트처럼 별도의 비상계단이 없어 계단 쪽에서 화재가 날 경우 탈출로가 출입구와 연결된 계단 하나뿐이었다. 의정부 아파트 화재처럼 불티가 출입구에 옮아 붙으면 탈출로 자체가 차단되는 셈이다. 비상계단을 갖춘 학원도 신속한 탈출은 쉽지 않아 보였다. 대피로 표시등이 꺼져 있어 화재로 인한 정전 시 계단 출입문을 찾기가 어려웠고, 학원 복도와 계단은 폭이 약 1.5m에 불과해 한꺼번에 사람이 몰릴 때는 압사 등 안전사고가 우려됐다.

학생 수가 100여 명이 안 되는 소규모 학원들(8곳)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았다. A학원 관계자는 “우리 학원은 다중이용업소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르면 다중이용업소는 수용 인원 300명 이상(570m² 이상)인 학원을 뜻한다. 이 때문에 대다수 소규모 학원들은 스프링클러, 비상벨 등의 설치가 의무화돼 있지 않은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창우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뿐만 아니라 도심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건물에 대한 전면적인 안전 점검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부실한 화재 대피시설도 곳곳에서 발견됐다. 신림동의 B학원에서는 완강기함 외부에 먼지가 수북이 쌓여 있었고 내부는 절반 이상 물이 차 있었다. 완강기 고리의 철제 부분도 녹이 슬어 안전한 탈출을 담보할 수 없는 상태였다. 일부 학원에서는 소화기가 지정된 곳에 있지 않았고 출입문이 닫히는 것을 막기 위한 용도로 쓰이고 있었다.

○ 화재장비 없이 위험에 노출된 고시생들

각종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모여 사는 서울 관악구 대학동의 고시촌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15가구가 살고 있는 C고시원의 각 방과 복도를 점검한 결과 스프링클러와 소화기 등 안전장비는 물론이고 비상 탈출구조차 없었다. 출입문을 제외한 유일한 탈출구는 창문이었으나 이마저도 창문을 열면 옆 건물의 벽이 맞닿아 있어 탈출이 어려웠다. 22가구가 사는 D고시원은 각층 복도 끝에 비상문을 설치했고 문을 열면 비상사다리를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그러나 비상문 앞에는 대형 정수기가 놓여 있어 쉽사리 문을 열 수 없었다. 이 경우 유일한 대피로는 옥상이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았다. 기자가 화재 상황을 가상해 1층에서부터 4층까지 달려 올라가 봤다. 18초가 걸려 힘들게 옥상문 앞에 도착했지만 옥상문은 굳게 잠겨 있었다. 이 교수는 “원룸 형태인 고시원은 면적이 좁아 불길이 번지는 속도가 아파트보다 빠르다”며 “특히 혼자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재 발생을 파악하지 못해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고시원 앞에 차량들이 불법 주차돼 있어 화재 발생 시 소방차 진입도 쉽지 않아 보였다. 서울 관악소방서 관계자는 “대학동의 경우 불법 주차로 인해 통행로의 폭이 좁아져 화재 현장 진입 시간이 지체될 때가 많다”고 말했다.

정윤철 trigger@donga.com·박성진 기자
#소방안전#화재#고시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