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기업 살리는 산학협력]젊은 아이디어를 믿어라, 이젠 市場에 나설 때!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0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산학협력에 손잡은 정부·대학·기업들

기업들이 산업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면서 기업과 대학간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산학협력단이 개최한 “캠퍼스 CEO DAY” 행사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표정에 자신감이 넘쳐 보인다. 고려대 제공
기업들이 산업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하면서 기업과 대학간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산학협력단이 개최한 “캠퍼스 CEO DAY” 행사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표정에 자신감이 넘쳐 보인다. 고려대 제공
과거 대학은 상아탑이라는 이름하에 연구와 교육에만 몰두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 대학가에서 산학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인식이 퍼져 나가고 있다. 정부가 지속적으로 산학협력 활성화 정책을 펴고, 대학들도 산학협력이 특성화와 경쟁력 향상의 열쇠라는 점을 체감한 결과다.

대학의 연구 성과를 사회와 공유해 부가가치를 높인다는 점에서 산학협력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자산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산학협력 정책이 도입된 것은 2003년이다. 정부가 산업교육 진흥 및 산학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대학들이 산학협력단을 만들기 시작한 것. 산학협력 정책이 11년째에 접어들면서 이제 대학 10곳 중 9곳이 산학협력단을 운영할 정도로 양적인 성장을 이뤘다. 산학협력 정책 도입 초기에 200건 수준이던 산학 간 기술 이전 협약은 2010년 이후 매년 2000건을 웃돌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연구력 수준을 감안하면 아직 산학협력은 걸음마 단계라는 지적도 있다. 2012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논문 발표 수는 세계 10위(4만7066건)이고 국내 기술개발도 1만2482건이나 되지만, 이를 기술 이전으로 성사시킨 경우는 2431건뿐이다. 대학의 연구개발비 대비 기술료 수입은 약 1%로, 미국의 3분의 1 수준에 그친다.

이를 뒤집어 보면 우리나라의 산학협력 확대 여력이 무척 크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정부의 의지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학 연계를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는 2단계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을 통해 대학들이 산학협력을 체질화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산학협력단 기능 강화 방안(2012년 10월), 산학협력 활성화 10대 중점 추진과제(2013년 12월) 등 산학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도 잇달아 내놓고 있다.

교육부는 2012∼2013년에 실시한 1단계 LINC 사업을 통해 대학가에 산학협력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조성됐다고 보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2단계 LINC 사업에서는 실질적인 성과물이 쏟아져 나오도록 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2단계 LINC 사업 참여 대학들이 산학협력 친화형 교원인사 제도를 운영하고, 산학협력단의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역 산업과 연계한 기업맞춤형 인력 양성, 창업교육 내실화, 혁신기술 개발 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15일 동아일보와 산학협동재단, 한국산학협력학회가 주최한 글로벌산학협력포럼에서 교육부는 대대적인 산학협력 지원 의지를 강조하기도 했다. 배성근 교육부 대학지원관은 “이제 대학들이 산학협력 마인드 확산에 그치지 않고 좋은 아이디어를 시장으로 연결할 시기”라며 “내년부터 교육부가 3년간 450억 원을 투입해 대학이 연구개발을 하면 정부가 이를 사업, 창업, 시장 진입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응용 범위가 넓은 양질의 대학 기술이 산업체로 이전되면 우리 경제의 중추적인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의 적극적인 연계 노력이 필요하다. 산학협동재단이 실시한 ‘2014년 기업 관점의 산학협력 평가’ 결과를 보면 이런 흐름을 읽고 산업체의 수요에 부응하는 산학협력을 실시한 우수 대학들을 찾을 수 있다. 고려대 건국대 동명대 동서대 서울과학기술대 세종대 울산과학기술대(UNIST) 중앙대 충북대 한국산업기술대 한양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런 대학의 우수 사례가 다른 대학들로 확산된다면 우리 산학협력도 미국이나 유럽 같은 산학협력 선진국 수준으로 무르익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계도 대학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더욱 고민해야 한다. 특히 공적인 연구비만으로는 점점 규모가 커지는 대학의 연구개발비를 뒷받침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산업계가 적극적으로 대학에 연구비와 인프라를 지원하는 데 앞장서는 것이 산학협력 성공에 필수 요소다.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