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홍찬식]한국에서 꽃이 사라진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2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정부가 매주 화요일을 ‘꽃 사는 날’로 지정해 놓은 것을 아는 국민은 많지 않다. ‘이달의 꽃’이라는 제도도 있으나 마찬가지다. 올해 1월의 꽃은 심비디움, 2월은 ‘봄의 전령’ 프리지어였다. 꽃 소비를 늘려 보려는 아이디어들이지만 반응은 냉담하다. 한때 1조 원을 넘었던 연간 꽃 매출액은 8000억 원대로 떨어졌다. 국민 1인당 꽃 소비액은 연간 1만5000원으로 노르웨이(16만 원) 스위스(15만 원)에 비해 10분의 1 수준이다.

▷그나마 축하용으로 인기 있는 난초의 경우 80% 이상이 수입품으로 화훼 농가에 큰 도움이 안 된다. 대만 중국에서 들여온 것을 베트남산 화분에 넣어 판다. 꽃 소비는 국민소득과 비례한다는 게 정설이지만 한국에선 통하지 않는다. 꽃 소비가 가장 많았던 2005년 국민소득은 1만6500달러, 지난해에는 2만4000달러로 추정된다. 소득은 45% 늘어났지만 꽃 소비는 20% 줄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이 인격 수양을 위해 그렸던 문인화의 소재는 매화 난초 국화였다. 꽃을 사랑하는 전통은 고전에도 잘 나타나 있다. ‘열하일기’의 저자 연암 박지원은 ‘어제 내린 비에 살구꽃은 졌으나 복사꽃은 아직 고우니/조물주가 사사롭게 어느 한쪽을 좋아하는 건가’라는 멋진 글을 남겼다. 조선 후기 문신인 서형수는 서울 성밖 북적동(현 성북동)에 꽃구경을 다녀온 뒤 ‘북적동에 아름다운 꽃이 향기를 내뿜으면 서울의 남녀들로 미어지지 않는 날이 없다’고 전했다.

▷외국에선 꽃 선물이 빈번하다. 세계 여성의 날(3월 8일)에는 노란 미모사를 주고, 책과 장미 축제(4월 23일)에선 남자가 여자에게 장미를 바친다. 반면 한국 젊은이들은 주로 초콜릿을 주고받는다. 꽃 생산자들이 새 학기를 맞아 소비 촉진을 위해 이화여대 등 대학에 장미를 보낼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도 꽃의 생활화를 외치지만 이렇다 할 변화는 없다. 정치권과 사회 세력의 극한 대치, 살벌한 세태 등도 혹시 꽃이 사라지는 현상과 관련 있는 건 아닌지 궁금하다. 성큼 다가온 봄에 꽃의 부활을 기다려본다.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