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DNA]불편부당 대선보도… 시시비비 후보검증… ‘진실의 DNA’

  • Array
  • 입력 2013년 4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 18대 대선 이어 박근혜정부 감시-견제로 ‘국민 알권리’ 충족

“노무현 정부 때 장관을 지낸 저는 이번 선거에서 패한 (민주통합당) 쪽 사람들과 인적 연대가 좀 있는데, 그쪽 사람들에게도 ‘다른 신문과 동아일보를 객관적으로 비교해 보라. 적어도 이번 선거보도에서 편향됐다는 식으로 평가해선 안 된다’고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게 해줘서 고맙게 생각한다.”

지난해 대선 직후인 12월 27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내 회의실에서 열린 ‘동아일보 대선보도 검증위원회’의 마지막 회의에서 김대환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가 한 말이다.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2년간 노동부 장관으로 일했던 진보 성향의 중진 학자다. 김 교수는 “일부 진보진영의 신문들은 선거에 접어드니 ‘죽고 사는 문제’라고 생각하며 쓴 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반면 동아일보는 면 구성이나 기사에서 공정하기 위해 신경을 썼고 잘 자제했다”고 말했다.

동아일보의 지난해 대선 당시와 최근 박근혜 정부 인사검증 보도 등을 놓고 일각에선 “동아일보가 변했다”며 분분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 좌파 성향의 언론전문지는 “일시적인 변화”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동아일보가 1920년 창간 후 93년간 지켜 온 저널리즘 정신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나오는 주관적 인식에 불과하다. 동아일보의 최근 보도는 ‘불편부당(不偏不黨), 시시비비(是是非非)’라는 불변의 ‘동아 유전자(DNA)’가 시대에 맞게 발현된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기 때문이다.

동아일보는 이념과 세대 갈등이 극심했던 지난해 18대 대선에서 어느 매체보다 균형 잡힌 시각과 사실에 가까운 팩트(fact)로 독자에게 판단 기준을 제공하고 알권리를 충족시키려 노력했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주요 공약에 대한 입체적 비교 분석을 시도했다. 특히 ‘무상보육에만 연 7조…화려한 복지공약, 재원 대책은 빈칸’ 등의 기획을 통해 후보들의 공약을 단순 소개하는 차원을 넘어 재원 마련의 실현 가능성까지 검증했다. 대선 기간에는 ‘동아일보 대선보도 검증위원회’를 세 차례 열어 주요 이슈에 대한 외부 전문가의 비판과 조언을 가감 없이 소개하고 이를 보도에 반영하는 ‘실시간 옴부즈맨 시스템’을 운영했다. 동아일보는 대선 후에는 박근혜 정부의 인사와 국정 운영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과 함께 성공을 바라는 각계의 고언을 잇달아 보도했다. 대선 직후부터 ‘인사가 만사다’ 시리즈를 통해 국무총리부터 대통령국가안보실장까지 주요 인사에 대한 역대 정부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의 조언을 15회에 걸쳐 보도했다. 각 부처 관계자들은 “새 정부가 인사 과정에서 참고할 실질적인 지침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의 인사는 아쉽게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동아일보는 새 정부가 초반 오류를 줄이고 안정적 국정 운영에 나설 수 있도록 사회적 공기(公器)로서의 역할에 충실했다.

동아일보는 1993년 한국 언론 사상 처음으로 김영삼 정부의 조각 검증을 실시해 잘못된 인사로 초래될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한 바 있다. 특히 이번에는 동아미디어그룹의 종합편성채널인 채널A와 한국 언론 사상 최초로 신문-방송 공동 인사검증팀을 꾸려 매체 간 시너지를 통한 취재력을 극대화했다.

동아일보는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해 임명 직후부터 증여세 탈루 의혹, 장남 병역 면제 의혹 등을 잇달아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동아일보는 각종 의혹 관련 팩트를 가급적 정확하게 다루려고 노력했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매체보다 더욱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사 검증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보도할 수 있었다. 김 후보자는 지명 5일 만인 1월 29일 사퇴했다. 본보가 2월 4일자에서 “일부 언론이 ‘인사 검증은 신상 털기’라며 화풀이하는 여권에 동조하고 있다”고 비판한 것은 사회적 핵심 이슈의 중요성을 빨리 인식하고 공론화해야 할 ‘일차적 정의자(primary definer)’로서의 언론 기능을 외면해선 안 된다는 문제의식에서였다. 그리고 언론 본연의 역할에 더욱 충실하겠다는 동아일보의 다짐이기도 했다. 김 총리 후보자 관련 보도에서 빛난 동아일보의 인사 검증은 새 정부의 각종 인선에서도 이어졌다. 특히 낙마한 김병관 국방부 장관,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등에 대한 검증 보도의 방향을 이끌었다.

동아일보는 인사 검증과는 별도로 여야 간 균형 잡힌 정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야당의 생산적인 역할도 강조했다. 특히 ‘야당이 우뚝 서야 정치가 산다’와 이어진 ‘진보가 박근혜에게 말한다’ 시리즈를 통해 지난해 대선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한국 사회에서 언론이 어떻게 균형자로서 기능해야 할지를 보여주었다. ‘야당이 우뚝 서야 정치가 산다’는 민주당의 원로인 정대철 고문을 시작으로, 친노(친노무현)계인 원혜영 의원 등의 목소리를 통해 제1야당이 제대로 역할을 해야 세계 11위 경제대국이라는 국격에 맞는 정치문화가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진보가 박근혜에게 말한다’는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시작으로 우석훈 성공회대 교수 등 박 대통령을 비판했던 인사들의 건설적 조언을 잇달아 소개했다.

한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론의 장(場)을 자임하고 권력을 감시·견제한다는 동아일보의 저널리즘 원칙은 박근혜 정부 임기 5년 내내 계속될 것이다. ‘동아 DNA’는 민족·민주·문화주의라는 3대 사시(社是)를 바탕으로 시대의 요구에 맞춰 끊임없이 진화하며 이어져 왔기 때문이다.

이승헌 기자 ddr@donga.com
#동아일보#국민 알권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