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의 지평선]서구적 선진화는 파괴, 중도가 인간적이지…

  • 입력 2008년 4월 22일 02시 52분


서구적 선진화는 파괴, 중도가 인간적이지 않은가

새벽꿈에 문이 나왔다. 작은 한쪽 사립 자리에 새로 커다란 두 쪽 대문이 섰다.

문은 닫히기 위해서 있다. 이에 못지않게 그것은 열리기 위해서 있다. 문의 안과 밖의 두 세계에 인간생활이 있다. 문 없는 안과 밖은 소통을 모른다. 그런 문이라면 문이라기보다 벽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문으로 들고 나가고 하는 생활의 일상이야말로 한 인간의 행위를 세상의 행위에 일치시킨다.

그러나 진리의 세계를 문 없는 상태라고 말하기도 한다. 진리가 생활보다 위대할까. 대도무문(大道無門), 왠지 허황하구나.

지난 세기 즉 20세기는 닫혀 있던 한반도의 당사자에게는 그 세기에 대한 실감이 주어질 까닭이 없었다. 그런 20세기 초입에 일차적인 서구화를 달성한 타자에 의해 노예로 전락했다. 그것은 전락이 아니라 몰락이었다.

그 20세기라는 이름은 정작 20세기 후반에야 풍문의 수준으로 입에 오르내렸다. 진작 타자의 세기였으므로 자아의 세기일 수 없는 외래어였다.

1950년대 전후의 초라한 가설무대에서 상영된 미국영화에서 그 영화사의 이름으로 20세기라는 것에 익숙해졌다! ‘20세기 폭스’ 말이다.

하지만 지금의 21세기는 처음부터 자아의 세기로 발진(發進)했다.

한반도의 한 시인도 21세기 첫날 0시에 세계 각처에서 모여든 그리스 파르테논신전 축제에 가 있었다. 아니 서울 광화문의 21세기맞이 잔치도 세계 유수의 대도시 그것 못지않게 화려했다.

심지어 국제관계의 폭이 좁은 북한에서도 ‘21세기의 태양…’ 운운의 구호를 내걸기 시작했다.

21세기란 뭔가. 이는 지난 세기가 몽땅 서구 중심주의의 절정이었고 서구 및 미국의 우월성이 행사되는 현대와는 또 다른 현대 이후의 확대된 보편성의 시간인가.

세계화의 불가피한 상태에서 개막한 21세기 시장 신자유주의의 탐욕적인 현실에서 과연 그 보편성이란 얼마나 일방적이겠는가.

아무튼 이제 세계는 어느 한 곳의 닫힌 오지를 그대로 두지 않는다. 히말라야 동쪽 산중왕국 부탄에도 선거제도가 들어갔는데 이런 문 열기는 얼마나 자율적이겠는가.

세계의 모든 가치가 가격으로 환치되고 그 가치의 본질이 변질되는 경제 이데올로기는 지난 세기가 전쟁과 이념의 폭력으로 차 있던 야만의 시대라고 정의된 것 이상으로 더 야만의 연대가 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

21세기는 21세기의 미래학을 만들어야 한다. 예측과 예감이 가능하지 않은 비극은 인간의 험악한 본능만을 남게 만든다.

저 1960년대 창간의 정기간행물 ‘창작과비평’은 그 당시로는 놀라운 사회적 자아의식을 표방했다. 현실의 인식 논리도 뜨거웠다.

이런 사실을 보강하는 한 장치로 프랑스 실존주의 사회참여의 매체 ‘현대’지 창간사의 도움도 받았다.

이에 대한 반사적 영향으로 창간된 ‘문학과지성’ 역시 전후문학의 실패를 딛고 일어선 4·19세대의 지적 모험이었다. 그들은 기왕의 전(前)시대적인 문학의 극복을 내걸었다. 창간사 첫 원고가 ‘후진국의 문학’을 자인한 것이 너무 노골적이라 해서 두 번째 원고로 대체했다.

그만큼 한국문학 반성에서의 일련의 서구문학 선진성은 비껴나기 어려웠다.

이제 근대문학 100년의 성취는 그런 고민들을 넘어 놀라운 바 있다. 저 최남선의 성급한 모작으로부터 10년 전후의 세대를 통해서 김소월이 나오고 정지용이 나오게 되었다.

식민지시대의 문학이란 주체 상실의 환경에 서구문학의 중역적(重譯的)인 이식의 문학이란 난제를 짊어져야 했다. 그래서 그 가능성은 처절했다.

한국문학의 근대는 서구 형식을 수용한 이래 의식으로서의 자기화와 형식으로서의 육화를 이루어냈다. 저 60년대 자기 각성이 후진국 콤플렉스를 그대로 반영했으나 이제는 그 반대명제인 ‘선진성’이 헛된 것이 아니다.

실지로 서구문학의 기교적 한계에 노출되고 있을 때 이제까지 세계문학의 변경인 중남미문학의 원색적인 생명력이 뿜어져 나온 것은 동아시아적 문학에도 고무적이다.

이러한 문학담론을 여기에 늘어놓는 것은 다름 아닌 ‘선진’의 국가적 강조가 어떤 결과로 될지를 알아보자는 뜻인지 모른다. 과연 새 정부의 국시 개념이다시피 하는 선진이란 것, ‘선진화’와 ‘선진국에의 진입’은 그동안의 상투적인 언급을 넘어선 명분이다. 지금 한국경제가 세계 경제국가 10위권의 서열에 들어 있고 여기에 성장률 상승의 욕망을 더 부추기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그 위기의 심각성은 해소되기 어려운 세계 위기와 닿아 있다.

이런 경우 선진에의 지향이 어떤 조절이나 성찰이 필요할 것이다. 어쩌면 산업화 시대의 개발독재 근대를 아직까지도 절대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서구의 근대 몇백 년을 경험한 선진사회가 그 근대의 축복 이상으로 재난의 삶을 가속화시키는 현실을 묵과해서는 안 된다. 그런 근대를 충분한 숙성의 시간 없이 압축해온 한국의 근대화를 바탕으로 한 선진 지향이 어떤 재앙의 원인이 될지 생각해야 한다.

나는 10년 전부터 근대의 재근대화를 말한 바 있다. 공교롭게 울리히 벡이 재근대화를 위험사회 극복의 대안으로 내걸고 있는 것이 반가웠다.

이와 함께 우리가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서방세계 선진사회의 위기이다. 소위 선진국일수록 폭력과 마약의 본산이 되고 있다. 미국의 총과 유럽의 칼은 차세대의 타락과 직결되어 있다.

이런 범죄적 선진사회라면 백 번이나 후진사회 그대로가 나은 것 아닌가.

또한 선진 역시 필연적으로 그 반환점에서 내적 후진성을 탄생시킬 것이다. 굳이 말하건대 선진과 후진 사이의 그 양항적(兩項的)인 중도의 문화가 더 인간적이 아닌가.

고은 시인·서울대 초빙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