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약진에 방송사 ‘콘텐츠 제작’ 위기… 규제 풀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11일 01시 40분


코멘트

언론학회 ‘지속 가능한…’ 학술회의
“방송사 공익성 감안해 진흥책 필요
재승인 조건 완화로 부담 덜어줘야”

한국언론학회 주최로 10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지속 가능한 민영방송 생태계를 위한 진흥책 모색’ 학술회의에서 발표자로 나선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왼쪽 단상)이 미디어 산업 진흥 방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동규 건국대 교수, 
고흥석 국립군산대 교수, 김희경 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 박경우 동아대 교수, 이항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방송정책과장, 이훈
 경희대 교수. 경주=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
한국언론학회 주최로 10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지속 가능한 민영방송 생태계를 위한 진흥책 모색’ 학술회의에서 발표자로 나선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왼쪽 단상)이 미디어 산업 진흥 방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동규 건국대 교수, 고흥석 국립군산대 교수, 김희경 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 박경우 동아대 교수, 이항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방송정책과장, 이훈 경희대 교수. 경주=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확산 등으로 인한 국내 미디어 산업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콘텐츠 산업 제작의 중심축인 방송사에 대한 규제 개선과 적극적인 진흥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언론학회 주최로 10일 경북 경주시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속 가능한 민영방송 생태계를 위한 진흥책 모색’ 학술회의에서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은 “그동안 방송사 등 레거시 미디어의 지속적인 투자 등으로 K콘텐츠 산업이 발전해 왔지만 글로벌 미디어 업체의 시장 잠식 등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 흐름을 그대로 방치하면 한국 소프트파워의 경쟁력을 끌어올린 콘텐츠 산업 자체가 위기에 놓일 수 있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 발표한 ‘2022년도 방송사업자 재산 상황’에 따르면 국내 유료방송 주문형 비디오(VOD) 매출은 2018년 9766억 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 추세가 이어지며 2022년에는 6905억 원까지 떨어졌다. 노 소장은 “방송사들은 광고 감소뿐 아니라 OTT 확산으로 인한 방송 프로그램 시장 잠식까지 맞이한 상황”이라며 “방송의 공익성 등을 감안해 OTT만큼은 아니더라도 재승인 제도의 과도한 부과 조건 최소화, 의무 편성 및 경직된 심의 완화 등 기존의 낡은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희경 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은 “드라마, 버라이어티, 교양 등 막대한 자본이 들어가고 진입장벽이 높은 콘텐츠들은 방송사 시장에서 만들어지는 ‘시드(Seed) 콘텐츠’로, 디지털 플랫폼과 OTT 등으로 유통되는 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플랫폼에 기반한 웹툰, 웹소설 등 분야는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과학화, 전산화 지원으로 창작자들이 역량 발휘 기회와 적절한 보상을 받는 시스템이 마련됐다”며 “유튜브나 OTT의 시청 정보 등에 대한 개방 정책 등을 추진해 방송 콘텐츠 시장 역시 전산화, 체계화된 정보로 중장기적인 계획을 짤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항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방송정책과장은 “인공지능(AI) 및 각종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을 방송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개발(R&D) 예산 확대, 방송 제작 인력 육성 및 설비 예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며 “미디어 시장의 변화를 반영한 제도 개선과 예산 확보를 위해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주=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
#ott 확산#콘텐츠 제작#미디어 산업 위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