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 공포기억 조절 신경세포 찾는 기술 개발

  • 뉴스1
  • 입력 2023년 11월 9일 11시 56분


코멘트
기저외측편도체 내의 시냅스 표지. (IBS 제공) /뉴스1
기저외측편도체 내의 시냅스 표지. (IBS 제공) /뉴스1
강봉균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단장. /뉴스1
강봉균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단장. /뉴스1
국내 연구진이 공포 기억을 조절하는 신경세포를 찾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질병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학습 및 기억 연구그룹 강봉균 단장 연구팀이 특정 뇌 영역에 있는 신경 회로의 시냅스를 표지할 수 있는 ‘LCD-eGRASP’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기술로 기억저장 세포와 주변의 억제성 신경세포가 맺고 있는 국소적인 시냅스를 시각화함으로써 억제성 신경세포가 공포 기억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밀폐된 체임버에서 생쥐에게 전기자극을 가해 공포 기억을 형성시키는 공포 기억 학습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저외측편도체의 억제성 신경세포 중 하나인 소마토스타틴 인터뉴런의 일부 집단이 공포 기억 형성 시 특이적으로 활성화되며, 기저외측편도체의 기억저장 세포들과 더 많은 시냅스를 형성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했다.

또 공포 기억에 활성화된 소마토스타틴 인터뉴런은 그렇지 않은 소마토스타틴 인터뉴런에 비해 더 높은 신경 흥분성을 보이며 공포 기억저장 세포의 활동을 억제했다.

공포 기억이 떠오르는 상황에 처하면 흥분성이 낮아져 공포 기억저장 세포의 활동에 의해 정상적으로 공포 기억이 회상됐다.

이밖에 소마토스타틴 인터뉴런을 인위적으로 억제했을 때에는 공포반응이 더 강하게 나타난 반면 활성화하는 경우에는 공포와 관련된 불안 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소마토스타틴 인터뉴런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공포 기억 반응에 직·간접적 변화가 나타남을 의미하며 억제성 뉴런도 기억저장 세포와 조화를 이뤄 기억의 적절한 회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강봉균 단장은 “흥분성 기억저장 세포에 집중한 기존 연구에서 한 단계 나아가 국소 영역에서 억제성 신경세포의 역할을 규명하고 억제성 인터뉴런을 통한 기억조절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향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질병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또 “개발한 ‘LCD-eGRASP’ 기술은 뇌의 한 영역 내 시냅스를 표지할 수 있다”며 “뇌의 영역 간 시냅스 표지 기술인 ‘Dual-eGRASP’와 함께 신경과학 분야의 핵심기술로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최고 수준의 국제학술지 ‘뉴런’ 온라인에 이날 게재됐다.

(대전=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