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보다 가늘게 금박에 새겨진 새·꽃…“현대 장인도 재현 어려워”

  • 뉴스1
  • 입력 2022년 6월 16일 09시 06분


코멘트
8세기 통일신라시대 금속 세공기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금박 유물이 공개됐다.

종이처럼 얇게 편 금박에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 정도 되는 0.05㎜ 이하의 가느다란 선으로 새 두 마리와 꽃을 새겨넣은 것인데,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유물 중에서는 가장 정교한 세공술을 보여준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16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금박을 공개했다.

이 금박은 2016년 11월 동궁과 월지 ‘나’지구 북편 발굴조사 중 출토된 것이다. 두 점이 확인됐는데, 발견 당시에는 형체를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진흙과 함께 구겨진 채 20m가량 떨어져 있었다. 이후 보존처리 과정을 통해 한 개체임이 확인됐다.

해당 금박은 순도 99.99%의 금 0.3g을 두께 0.04㎜로 얇게 편 것이다. 크기도 가로 3.6㎝·세로 1.17㎝에 불과한데 좌·우측에는 새 두 마리, 중앙부 및 새 주위에는 ‘단화’(團華)가 새겨져 있다.

단화는 꽃을 위에서 본 형태를 연상시키는 통일신라시대 장식 문양 중 하나다. 이에 따라 이 금박에는 ‘선각단화쌍조문’(線刻團華雙鳥文)이란 명칭이 붙었다.

그림의 선 두께는 사람 머리카락 굵기(0.08㎜)보다 가는 0.05㎜ 이하에 불과하다. 그릴 때는 철필(鐵筆·끝부분이 철로 된 펜)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유물 중 이보다 미세한 그림이 담긴 것은 없다.

육안으로는 판별이 불가능하고, 돋보기나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수준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조각장의 자문 결과 ‘실물 그대로 재현도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어창선 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아주 얇은 바늘 끝을 사용해야 그나마 금박에 그려진 선을 겨우 표현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맨눈으로 작업하기 어려워 확대경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확대경과 같은 작업 도구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금박에 새긴 새는 멧비둘기다. 오른쪽 새의 깃털 표현이 왼쪽의 새보다 다채롭다. 몸집의 크기와 꼬리 깃털의 형태도 다르다. 이를 미루어 보아 왼쪽은 암컷, 오른쪽은 수컷을 새긴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묘사는 금속공예의 영역을 넘어 통일신라시대 회화의 영역에서도 의미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새 두 마리가 마주 보는 그림은 서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점에서 신라만의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고 경주문화재연구소 측은 설명했다.

하지만 이 금박의 정확한 용도는 드러나지 않았다. 따로 매달 수 있는 구멍이 없다는 점에서 어떤 기물에 직접 부착한 장식물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김경열 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살짝 뜯어지거나 말린 흔적 등으로 볼 때 지금보다 넓은 금박에 문양을 새긴 뒤 사용할 부분만 오려낸 것 같다”며 “금박의 형태로 볼 때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기물의 마구리(어떤 물건의 끝이나 단면)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장식 요소를 넘어 신에게 봉헌하기 위한 용도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어창선 학예연구관은 “맨눈으로 보이지도 않은 문양을 새겼다는 점에서 과시용은 아닐 것으로 본다”며 “정확한 용도 파악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이 금박 유물은 17일부터 오는 10월31일까지 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에서 열리는 ‘3㎝에 담긴, 금빛 화조도’ 특별 전시를 통해 볼 수 있다. 연구소는 누리집에서 기가픽셀 이미지 뷰어를 제공, 금박의 세밀함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전체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전체 사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경주 동궁과 월지 나지구 출토 선각단화쌍조문금박’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2022.6.16/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경주 동궁과 월지 나지구 출토 선각단화쌍조문금박’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2022.6.16/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경주 동궁과 월지 나지구 출토 선각단화쌍조문금박’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2022.6.16/뉴스1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경주 동궁과 월지 나지구 출토 선각단화쌍조문금박’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2022.6.16/뉴스1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세부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세부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될 당시 금박의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될 당시 금박의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금박 출토 위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금박 출토 위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선각단화쌍조문금박’에 문양을 새긴 기법.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선각단화쌍조문금박’에 문양을 새긴 기법.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경주 동궁과 월지 나지구 출토 선각단화쌍조문금박’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한 유물은 2016년 11월 동궁과 월지 나지구 북편 발굴조사 중에 출토됐으며. 금박은 순도 99.99%의 정선된 순금 0.3g(한 돈은 3.75g)을 두께 0.04mm로 얇게 펴서 가로 3.6cm, 세로 1.17cm의 크기에 새와 꽃을 조밀하게 새겼다. 통일신라시대의 최고 수준의 금속공예술을 보여주는 금박 유물이다. 2022.6.16/뉴스1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경주 동궁과 월지 나지구 출토 선각단화쌍조문금박’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유물이 공개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한 유물은 2016년 11월 동궁과 월지 나지구 북편 발굴조사 중에 출토됐으며. 금박은 순도 99.99%의 정선된 순금 0.3g(한 돈은 3.75g)을 두께 0.04mm로 얇게 펴서 가로 3.6cm, 세로 1.17cm의 크기에 새와 꽃을 조밀하게 새겼다. 통일신라시대의 최고 수준의 금속공예술을 보여주는 금박 유물이다. 2022.6.16/뉴스1

다음
이전